
의왕·군포·안산 경계지와 화성 진안에 신도시급 신규택지가 조성된다. 또 남양주·양주·구리 등에 중소규모 신규택지 등 10만호 이상의 주택이 경기도 내에 추가 공급된다.
국토교통부는 30일 2·4 대책 후속 조치로 경기도(10만2천호)를 비롯해 인천시(구월2·1만8천호)와 세종·대전(2만호) 등 제3차 신규 공공택지 14만호의 입지를 확정해 발표했다.
경기도내 '신도시급' 2곳 조성에
화성 봉담3 1만7천·양주 장흥 6천
남양주 진건 7천·구리 교문 2천 등
중·소규모 포함 총 10만 가구 이상
이날 발표에서 가장 대규모 택지는 의왕·군포·안산으로, 4만1천호 규모다. 화성 진안도 2만9천호에 달해 신도시 규모다.
특히 화성시의 경우 1만7천호 규모의 봉담3도 이번 발표에 포함돼 있어 모두 4만6천호의 주택이 공급된다. 중소 규모로는 남양주 진건과 양주 장흥에 각각 7천호, 6천호를 조성한다는 계획이다. 구리 교문은 2천호 규모로 계획됐다.
기존 2기 신도시가 인접한 서울 남쪽에 집중돼있고 대규모 택지는 수도권광역급행철도(GTX)와 연계됐다는 점에서 서울 남부 및 경기 남부의 주택 수요를 분산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를 모은다.
의왕·군포·안산은 서울시 경계에서 12㎞ 떨어진 곳으로, 지하철 1호선(의왕역)·4호선(반월역)·GTX-C 노선 등 철도축을 통해 서울과 접근성이 높다.
화성 진안은 동탄신도시 서북측에 인접한 미개발 지역으로, 수원영통 시가지와 가깝다. 동탄~인덕원선과 동탄 트램 등이 지나고, 이를 통해 GTX-A 동탄역에 닿을 수 있어 서울의 주택수요까지 충족시킬 것이라는 계산이다.
남양주 진건과 구리 교문은 상대적으로 소규모 택지이지만 앞서 3기 신도시 개발 계획에 담긴 서울 태릉CC 택지와 3~4㎞ 떨어져 있어 태릉CC 개발과 상호 보완적으로 사업이 추진될 것으로 예상된다. 국토부는 "수도권에선 교통 여건과 기존 도심과의 접근성, 주택수요 등을 고려해 택지를 선정했다"고 설명했다.
이들 신규 택지는 내년 하반기까지 지구지정을 마치고 2024년 지구계획 등을 거쳐 2026년부터 순차적으로 입주자 모집(분양)을 시작할 예정이다. → 관련기사 4면(인구 증가·경제 성장 탄력… 화성 '큰웃음' 의왕·군포·안산 '미소')
/김성주기자 ksj@kyeongin.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