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자연재해로 인한 재산 피해를 보장해주는 '풍수해 보험'이 정작 시민들에게 외면받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해당 보험을 운영하는 보험사들은 다채로운 홍보 채널이 부족한 탓이라고 지적했다.
1일 행정안전부와 경기도 등에 따르면 풍수해 보험은 태풍, 홍수 등 재해가 발생하면 이로인한 피해를 보상해주는 정책 보험이다. 보장 대상에 따라 주택, 온실, 소상공인 등으로 분류된다.
가입자들은 보험료 70~90%를 정부와 지방자치단체로부터 지원받을 수 있다. 특히 행안부는 사업 참여를 독려하기 위해 올해부터 국비 지원율을 최대 56%까지 끌어올렸다.
올 국비지원 56%까지 확대 불구
경기도내 가입률 20%에 못 미쳐
하지만 여전히 경기도의 올해(1~7월) 풍수해보험 가입률은 20%에 못 미쳤다. 보장 항목별로 살펴보면 주택 11.26%, 온실 19.46%, 소상공인 1.7% 수준이었다. 특히 소상공인 분야에선 도내 31개 시·군 사업 대상이 총 8만7천808곳에 달하지만 풍수해 보험 이용자는 1천490곳에 그쳤다.
지난해 말 기준으로도 경기도의 풍수해 보험 가입률은 턱없이 낮은 것으로 조사됐다. 주택의 경우 가입 대상인 29만2천100세대 가운데 5만2천272세대가 풍수해 보험에 들어 전국 평균 가입률 20.9%에 미치지 못했다. 온실도 3천230㏊ 중 1천187㏊가 가입, 전국 평균인 12.3%보다 높았지만 실상은 10명 중 4명꼴이다.
업계 "기관 역량따라 천차만별
SNS 등 접근성 좋은 광고 필요"
보험업계에서는 가입률이 저조한 이유로 홍보 부족을 꼽았다. 보험업 종사자 A씨는 "행정기관의 홍보 역량에 따라 가입률이 천차만별"이라며 "개별 문의는 지진, 태풍 등 풍수해 피해가 발생했을 때 반짝 늘어나는 수준이고 기본적으로는 지자체 역할이 중요하다"고 짚어냈다. 풍수해 보험 상담 업무를 수년간 맡아온 B씨는 "의무가 아닌 선택 사항이다 보니 원래부터 보험을 알고 있거나, 지인 소개로 가입하는 경우가 많다"며 "옥외 광고보다는 사회관계망서비스, 온라인 포털 등 시민들에게 접근성 좋은 광고가 필요하다"고 말했다.
이와 관련, 도 관계자는 "소상공인 지원의 경우 최근에 시행해서 아직 가입률이 저조한 것이고, 점차 이용 건수가 늘어날 것"이라고 설명했다. 또 "도에서도 시·군을 통해 풍수해 보험을 다양하게 홍보하고 있다. 현재는 재해지원금 지급 대상 가구에 풍수해 보험 가입을 홍보하는 방안까지도 폭넓게 검토 중이다"라고 말했다.
/이시은기자 see@kyeongin.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