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택가격 오름세가 여전하다. 지난 8월 서울의 아파트 3.3㎡당 평균 매매가격이 4천만원을 넘어서는 등 전국 아파트 평균시세가 처음으로 2천만원을 돌파했다. 생활필수품 중심의 물가도 잰걸음 중이다. '장바구니 물가'로 불리는 생활물가지수가 지난달에는 작년 같은 달보다 3.4% 올라 2017년 8월 이후 가장 높은 수준이다. 연간 소비자물가 상승률이 9년 만에 2%를 웃돌 전망이다.
가계의 소비여력 축소가 걱정이다. 현대경제연구원은 5일 발간한 '경기회복 걸림돌, 3대 리스크 요인과 시사점'에서 "3분기 들어 방역상황 악화와 사회적 거리두기 강화로 내수침체 장기화가 우려된다"고 지적했다. 지난달의 소비자심리지수(CCSI)는 102.6으로 3개월째 하락세가 계속되고 있다. 한편 제프리 프랑켈 미국 하버드대 경제학 교수는 7일 기획재정부가 개최한 '2021 G20(주요 20개국) 글로벌 금융안정 컨퍼런스' 기조연설에서 글로벌 금리 인상이 신흥국 발 거품 붕괴를 유발할 수 있다며 한국도 대비할 것을 권고했다.
국책연구소인 한국금융연구원은 미국 등에서 긴축 위주의 통화정책 전환 가능성에 주목하며 주식, 가상화폐, 주택 등 자산시장 조정이 불가피해 선제적인 가계부채 관리를 주문했다. 국제금리가 인상되면 주식이나 가상자산에서는 유동성이 급속히 빠져나갈 위험이 커지고, 이미 가격부담이 누적된 주택시장은 작은 충격에도 민감하게 반응할 것이 불 보듯 뻔하다.
올 1분기 국제결제은행(BIS) 기준으로 한국의 명목 GDP(국내총생산) 대비 가계부채 비중이 107.6%로 선진국(81.0%), 신흥국(53.9%)에 비해 크게 높은 것도 걱정이다. 금융연은 가계부채 증가속도가 빠른데다 채무의 질도 갈수록 나빠지고 있어 금융정책 및 거시건전성정책, 부동산정책 등의 공조를 강조했다. 지난 7일 홍남기 경제부총리가 금리 추가인상을 거론한 배경이다.
금융위원회는 확률이 높은 글로벌 금리인상 쇼크에 대비해서 "풍선에 빵빵하게 든 바람을 조금이라도 빼겠다"며 내년 상반기까지 가계부채 옥죄기를 예고했다. 주택실수요자 및 소상공인들은 최악의 대출절벽을 염려하고 있다. 물가를 잡으려면 내수 위축이 불가피한데 코로나19는 또 다른 변수여서 정책당국의 고민이 깊어 보인다.
[사설] 물가억제와 경기회복 두 마리 토끼 잡아야
입력 2021-09-08 20:40
수정 2021-09-08 20:40
지면 아이콘
지면
ⓘ
2021-09-09 19면
-
글자크기 설정
글자크기 설정 시 다른 기사의 본문도
동일하게 적용됩니다.- 가
- 가
- 가
- 가
- 가
-
투표진행중 2024-11-22 종료
법원은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대표의 공직선거법 위반 혐의 사건에 대한 1심 선고 공판에서 징역 1년에 집행유예 2년을 선고했습니다. 벌금 100만원 이상의 유죄가 최종 확정된다면 국회의원직을 잃고 차기 대선에 출마할 수 없게 됩니다. 법원 판결에 대한 당신의 생각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