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2_어민_1160.jpg
황폐해진 옛 바지락 황금어장 대부도 선감어촌. /경인일보DB

경기도 어민들이 사라지고 있다. '경기 바다'를 살리기 위해 경기도가 매진했지만, 이런 움직임이 무색하게 5년 새 어민 4명중 1명 꼴은 바다를 떠났다.


9일 통계청에 따르면 경기도 어가 인구는 2019년 기준 1천346명이다. 2015년 1천843명이었지만, 500명 가까이(26.9%)가 줄어들었다. 전국 감소치(11.2%)의 2배 이상이고, 바다를 끼고 있는 시·도 중에선 가장 감소세가 가파르다. 


2015년 1843명 → 2019년 1346명
26.9% 줄어 전국 감소치 2배 이상


'어가 인구'는 판매 목적으로 1개월 이상 어업을 경영하거나 수산물 수입이 120만원 이상인 가구원을 뜻한다. 경기도내엔 화성·안산·김포·시흥·평택 5개 시에 있는 궁평항, 평택항 등 33개 어항에서 어민들이 생업을 이어가고 있다. 경기도 해안선만 267.94㎞에 이른다.

경기도 어민들이 가파르게 줄어드는 주된 이유는 생업을 유지하기 어려워서다. 이는 경기도 바다를 찾는 발길이 줄어든 데서 기인한다.

관광객들이 경기도 바다를 찾아 수산물을 소비할 때 발생하는 수익이 그동안 어민들 수입의 큰 비중을 차지했다. 그러나 매년 경기도 바다를 향한 발길이 조금씩 줄어들었고 코로나19 사태가 발생한 지난해부턴 발길이 끊기다시피 했다. 코로나19로 외식이 줄어들면서 수산물 유통·판매 역시 다소 주춤해진 점도 영향을 미쳤다. 2019년 통계가 현재로선 가장 최근 통계치지만, 지난해와 올해 어민들이 더 줄었을 것이라는 추측에 힘이 실리는 이유다.

관광객 뜸해져 '생계곤란' 주이유
"농민처럼 기본소득을" 목소리도
인천, 조례 준비… 道 "현황 파악"


경기도는 그동안 '경기 바다' 살리기에 전방위적으로 나서왔다. 바다를 청소하고 관광 콘텐츠를 개발하는가 하면, 바지락·주꾸미 등을 방류해 수산물 생산량을 높이는 데도 애써왔다. 그러나 어민들이 경기 바다를 계속 삶의 터전으로 삼기엔 역부족이었던 것으로 보인다.

상황이 이렇자 농민 기본소득처럼 어민들에 대한 소득 지원도 함께 고려돼야 한다는 목소리가 나온다. 농업 못지 않게 어업이 지역의 주요 산업인 전라북도와 전라남도는 농민뿐 아니라 어민에게도 연간 60만원의 수당을 지급했다. 지난 6일 인천시에서도 관련 조례가 시의회 상임위원회를 통과했다.

경기도는 현재 농민에게 연 60만원의 '농민 기본소득'을 지급하고, 특정 농촌지역에 거주하는 주민 모두에게 '농촌 기본소득'을 지급하는 방안도 추진 중이지만 어민에 대해선 아직 기본소득 지급 방침을 정하지 못했다.

농민에 이어 경기도 어민에게도 기본소득이 주어질지 관심이 쏠린다. 경기도 관계자는 "어민 소득을 지원하기 위해 현황을 파악하고 있다. 준비 중"이라고 말했다.

/고건기자 gogosing@kyeongin.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