9_데이터센터_8201.jpg
안양시 동안구 관양동 LG유플러스 평촌메가센터. /경인일보DB
 

경기도 등 수도권 지역 데이터센터 규제 법안이나 마찬가지인 분산에너지특별법 추진(9월 8일자 12면 보도="분산에너지법, 데이터센터 업계에 연간 1조원 피해") 소식을 접한 경기도의 한 데이터센터 사업자는 "전국 수요가 수도권에 몰려 있는데 수도권에 못 짓게 하면 어떡하라는 건지 모르겠다"며 당황한 기색을 감추지 못했다.

이미 다양한 클라우드 서비스를 산업 기반으로 삼는 민간 산업이 서울과 경기도에 몰려 있고 행정·공공기관 등 공공 분야도 앞으로 데이터센터(클라우드 서비스) 활용을 늘릴 전망인데 정부가 오히려 역행하는 정책을 펴고 있다면서다. 


금융사본점·ICT기업본사 등 집중
공공기관도 민간 활용 전망 불구


9일 한 데이터센터 운영사 관계자 A씨는 "데이터 서비스가 필수인 국내 금융사들 본점 대부분은 서울에, 4차 산업 분야인 ICT(정보통신기술) 기업 본사는 판교 등 경기도에 많아 데이터센터를 필요로 하는 수요 역시 해당 인접 지역으로 몰린다"며 "디지털플랫폼 기업인 자사도 경기도에 대규모 데이터센터를 신설하기 위해 한 지자체와 협약을 맺은 상태인데 혹시 정부 정책 때문에 나중에 조성 계획이 무산되는 건 아닌지 모르겠다"고 우려했다.

경기도 내 클라우드 서비스 등 데이터센터 수요를 노린 사업이어서 만약 계획이 무산되더라도 경기도 이외 비수도권 지역으로 옮겨 짓는 건 불가능하다는 것이다.

민간 산업 분야뿐 아니라 행정·공공기관 등도 점차 민간 클라우드 서비스 활용을 늘릴 전망이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는 정부·지자체 등의 공공서비스 혁신을 위해 민간 클라우드(데이터센터 등)를 우선 이용하도록 하는 관련 정책 계획을 이달 발표했고, 행정안전부는 지난해 6월 행정·공공기관 정보자원의 통합 구축·관리를 위해 클라우드 센터 활용을 늘릴 것을 고시했다.

[[관련기사_1]] 

"정부, 산업 역행하는 정책 펴" 지적
산업부 "무조건 막으려는 것 아냐"


하지만 산업통상자원부와 국회는 과잉 전력이용 우려가 있는 서울·경기 등 일부 지역에 전력계통영향평가 제도를 도입함으로써 대규모 데이터센터 신설을 규제하는 특별법을 추진해 해당 산업 수요를 오히려 가로막는다는 지적이 나온다.

이에 산업부 관계자는 "이번 분산에너지 정책 이전에 이미 한국전력에서도 과한 전력사용이 우려되는 시설 신설에 대해 모니터링을 하고 있다"며 "무조건 수도권 지역에 데이터센터 신설을 막으려는 것은 아니다"고 말했다.

/김준석기자 joonsk@kyeongin.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