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전거도로의 노후화, 파손 등 문제가 반복되면서 자전거 이용객들이 이 같은 불편사항을 신고하는 라이딩 환경개선 앱이 필요하다는 목소리가 나왔다.
서울시는 이미 관련 앱을 마련해 불편사항을 받고 있는데, 경기도는 각 시·군이 자전거도로 정비주체라 앱을 통한 플랫폼 구축이 쉽지 않다는 입장이다.
지난 4일 오전 찾은 용인시 처인구 경안천 자전거도로는 곳곳이 패고 금이 가 있었다. 일부는 낙엽 등이 쌓일 정도로 깊게 팼고, 자전거로 지나가면 충격을 줄 수 있는 턱도 정비되지 않은 상태였다. 간혹 자전거도로가 끊기는 곳도 있었는데, 자전거와 차량 동선 분리가 없어 비좁은 도로 위로 자전거와 차량이 함께 지나는 모습도 눈에 띄었다.
용인에서 광주시로 넘어가는 경안천 자전거도로 경계는 아예 자전거와 차량 동선 분리가 없었고, 주차된 차량까지 겹쳐 도로는 더 비좁아졌다.
도심으로 나오면 자전거도로의 파손 문제는 더 심각하다. 자전거도로가 갑자기 끊기거나, 주차된 차량으로 자전거가 도로로 나와야 하는 일이 비일비재한 데다 자전거도로와 시각장애인 보도블록이 붙어있어 위험한 순간도 잇따랐다.
이와 같은 자전거도로 문제는 매년 반복되는데, 주로 자전거 이용객들이 시·군에 민원을 넣거나 정부 차원에서 정비에 나서야 자전거도로 정비가 이뤄지고 있다. 특히 경기도 내 자전거도로는 4천986개, 총 5천480㎞에 달하는 노선을 보유하고 있다. 전국에서 가장 많은 수다.
이 때문에 일부 자전거 이용객들은 이용자가 직접 불편사항을 신고할 수 있는 창구가 필요하다는 목소리다. 경안천에서 만난 자전거 이용객 A(32)씨는 "자전거도로가 정비된 곳도 많지만, 간혹 정비가 아직 되지 않거나 자전거도로와 차량이 같이 다니는 곳에선 차량이 빨리 지나가면 위험할 때가 있다"면서 "자전거 이용객들이 즉각 민원을 넣는 플랫폼이 따로 있으면 아무래도 자전거 이용 활성화에 좀 더 도움될 것 같다"고 말했다.
실제 서울시는 지난해부터 시민이 만드는 자전거도로 시스템을 운영하고 있다. 민간기업인 자전거 전문 앱과 협력해 시민이 자전거 정책을 직접 제안할 수 있는 플랫폼을 구축했다. 라이딩 중 자전거 도로의 단절이나 협소한 자전거 도로 등 불편사항이 발견되면 앱을 통해 자유롭게 등록하면 된다. 자전거 이용자 공감이 20개가 넘으면 정식제안으로 접수되고 1주일 내 제안 검토 및 답변을 들을 수 있다.
이뿐만 아니라, 자전거 이용객 상당수가 모인 온라인 커뮤니티와 업무 협약을 체결, 서울 스마트불편신고 앱으로 자전거도로 시설 및 보수 등을 신고할 수 있도록 했다.
서울시 관계자는 "자전거를 이용하는 사람들이 더 도로 보수 문제 등을 빠르게 알 수 있기도 하고, 정비 인력이 부족한 점 등도 있어 이 같은 시스템을 구축하게 됐다"면서 "내년에는 시스템을 더 활성화할 수 있도록 추가적인 방안도 모색 중"이라고 했다.
반면 경기도 관계자는 "지난달부터 시작한 자전거도로 정비도 시·군이 하고 있다"면서 "도가 앱을 만들어 불편사항을 접수해도 결국 시·군에서 이를 처리해야 하는 이중적인 행정절차가 발생할 수 있다"고 설명했다. 이어 "지금도 각 시·군에 민원이 들어오면 충분히 정비할 수 있고, 자전거도로를 안내해주는 앱도 많이 있다"고 덧붙였다.
/신현정기자 god@kyeongin.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