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찰의 날(21일)'을 맞아 국민의 경찰로서 의무와 함께 일생을 살아가는 이 교수를 20일 인터뷰했다. 그는 "'짭새'나 '일본 순사'가 아닌 민중의 지팡이"로서의 경찰로 자리 잡으려면 경찰에 대한 인식은 물론 관련 역사를 바로 잡기 위한 노력도 계속돼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에 이 교수는 해당 두 자를 포함한 관련 이름을 토대로 3천400여 명에 달하는 사람에게 전부 편지를 보냈고 결국 5개월여 만에 전남 광주에 거주 중인 허 씨 어머니 소재를 파악할 수 있었다. 그렇게 허 씨는 수십 년 만에 어머니를 만났고 당시 이 교수에게 눈물 젖은 고마움을 전했다고 한다.
이를 계기로 이 교수는 이후 경찰청 본청으로 자리를 옮긴 뒤에도 다른 보직 대신 실종아동찾기센터, 장기추적전담팀 등에만 근무하며 약 15년(2002~2016년) 새 5천600여건에 달하는 실종·입양자 등의 상봉을 도왔다.
2017년 공직을 떠난 뒤엔 백석대 경찰학부의 경찰범죄수사 전공 주임교수로 재직하며 실종수사와 관련한 15건 논문 발표는 물론 민간 실종 전문수사 기관인 '이건수 CSI 탐정센터'까지 열어 운영 중이다.
이 교수는 "'진정한 민중의 지팡이'로 자리매김하려면 경찰에 대한 인식과 역사를 바로잡는 노력도 계속 이어가야 한다"고 강조했다. 그는 "세대마다 다르겠지만 경찰이라 하면 과거 '일본 순사'를 떠올리거나 젊은 세대는 '짭새'라 부르는 등 아직 인식 개선이 부족하다"며 "눈에 보이는 이미지 쇄신은 물론 검경 수사권 조정 같은 근본적 문제 해결을 위한 지속적 노력이 필요하다"고 설명했다.
그러면서 아직 10월 21일로 지정돼 있는 '경찰의날'을 11월 5일로 바꿔 최초 경무국 설립 등 역사적인 측면도 바로잡아야 한다고 지적했다. 실제 경찰의날을 11월 5일로 바꾸려는 움직임은 이전부터 이어져 오고 있다.
지난 2006년 당시 강창일 열린우리당 의원과 2009년 김희철 민주당 의원이 각각 경찰법 개정에 나섰으나 이뤄지지 못하고 최근엔 2017년 이재정 더불어민주당 의원도 관련 법 개정안을 발의했지만 이 역시 지난해 20대 국회 임기 만료와 함께 폐기돼 지금은 아무런 법 개정 작업이 진행되지 않는 상태다.
이렇게 추진돼 온 경찰법 개정안은 모두 기존 경찰의날인 10월 21일은 일제강점기 직후인 지난 1945년 미군정이 미군정청에 경무국을 만든 날이어서, 이를 지난 1919년 11월 5일 제정·공포된 '대한민국 임시정부 임시관제'에 따라 백범 김구 선생을 초대 경무국장으로 설치된 경무국을 효시로 삼아 11월 5일로 바꿔 지정해야 한다는 내용을 담고 있다.
이 교수는 "어떻게 보면 지정 날짜 하나 바꾸는 일이라 경찰들에게 별로 중요하게 여겨지지 않을 수 있다"며 "하지만 검경 수사권이나 경찰 이미지 개선도 그렇고 그의 일환으로 역사적 문제 역시 하나씩 바로잡아 나가야 다른 문제도 함께 해소해 나갈 수 있지 않나 생각한다"고 말했다.
/김준석기자 joonsk@kyeongin.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