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1102701000916000046861.jpg
27일 오후 평택시민재단에서 '평택 노인 회장의 성폭력, 2차 가해 관련 지역 사회 대응 방안 논의 위한 간담회'가 열렸다. 간담회에는 평택 시민들과 시민단체 등 30여명이 함께했다. 이들은 다수 여직원을 성추행한 혐의로 검찰에 넘겨진 대한노인회 평택지부 회장에 대한 엄벌을 촉구하고 피해 여성들에 대한 2차 가해 대응 방안을 논의했다. 2021.10.27 /이시은기자 see@kyeongin.com

"침묵은 동조입니다. 지역사회가 함께 하겠습니다."

다수 여직원을 성추행한 혐의로 검찰에 넘겨진 대한노인회평택시지회 회장(10월 8일자 15면 보도=노인회 평택지회장, 여직원들 성추행 혐의 검찰 송치)에 대한 엄벌을 촉구하는 목소리가 커지고 있다.

27일 오후 2시 평택시민재단에서는 '대한노인회 평택시지회장의 성폭력, 2차 가해 대응을 위한 지역사회 간담회'가 열렸다. 간담회에는 평택시민재단, 평택녹색소비자연대, 인권운동협회, 평택시의원 등 30여명이 한자리에 모였다.

시민들은 '(가칭) 성폭력 노인회장 사퇴 촉구 평택시민 대책 모임'을 구성해 가해자 엄벌 및 2차 가해 대응 방안을 모색하기로 뜻을 모았다. 이은우 재단 이사장은 가해자에 대한 수사가 시작한 지 두 달이 넘도록 피해자와 가해자 분리가 되지 않은 실상을 언급하며 문제 해결을 위한 '연대' 조성을 제안했다. 그는 "경인일보 기사에서 보듯 회장은 문제의식이 전혀 없다"며 "현재 회장이 불구속 상태에서 수사를 받고 있어 2차 가해가 일어날 우려가 크다"고 지적했다. 이어 "수사와 별개로 시민운동을 통해 노인회장을 압박하고 잘못을 깨닫도록 해야 한다"고 했다.

2021102701000916000046862.jpg
27일 오후 평택시민재단에서 '평택 노인 회장의 성폭력, 2차 가해 관련 지역 사회 대응 방안 논의 위한 간담회'가 열렸다. 간담회에는 평택 시민들과 시민단체 등 30여명이 함께했다. 2021.10.27 /이시은기자 see@kyeongin.com

대한노인회 정관 개정 필요성도 제기됐다. 간담회에 참석한 한 평택 시민은 "노인회경기도연합회는 이번 사태에 손을 놓고 있다"며 "평택이 아니더라도 전국 곳곳의 노인회에서 이러한 일이 또 벌어질 수 있다. 직무 정지와 피해자와 가해자 분리, 성희롱 예방 교육 등 정관 개정 운동도 한번 제안해볼 필요성 있다"고 목소리를 냈다. 더불어민주당 김승겸 평택시의원도 상급기관의 제대로 된 대처를 주문했다. 신 의원은 "인사권 가진 사람이 그 행정기관에서 강경하게 나갈 때 피해자들 피해가 줄어드는 것"이라면서 "기관에서 미온적으로 대처한다면 곤란하다"고 꼬집었다. 대책 모임은 다음달 2일 수원지검 평택지청 앞에서 가해자 구속 수사를 촉구하는 기자회견을 진행할 방침이다.

한편, 지난 25일에는 그간 회장을 엄호하던 지회 부회장단마저 전원 사퇴했다. 부회장단은 시민 사회 반발이 일자 회장에게 한 달 간 병가를 낼 것을 권유해 합의했지만 회장이 돌연 "계속 일하겠다"고 나섰기 때문이다. 부회장단은 입장문 통해 "사태 해결 위해 앞장섰던 부회장단 존재 이유가 없어졌다"고 밝혔다.

/이시은기자 see@kyeongin.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