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년 가까이 이어진 코로나19 감염병 사태로 경기도 내 사회적기업, 협동조합 등을 주축으로 한 서민경제가 휘청이고 있는 것으로 확인됐다.
경영지원자금 등 각종 자금의 보증을 지원한 경기신용보증재단(경기신보) 등 서민금융기관들도 대위변제 여력에 '빨간불'이 켜졌다는 우려가 커지고 있다.
코로나19가 발생한 지난해부터 올해 9월 말까지 경기신보의 자금 지원을 받았지만 파산한 사회적기업, 협동조합, 마을기업 등 업체 수는 총 21곳이다. 지난 2013년부터 올해 9월 말까지 9년여 동안 누적 집계한 파산 기업 수가 총 66곳인데, 코로나19 이후 2년이 채 안 되는 사이에 32%가 파산한 것이다.
8일 경기신보를 대상으로 한 경기도의회 경제노동위원회 행정사무감사에서 코로나19로 인한 소상공인과 중소기업 파산을 우려하는 목소리가 컸다. 또 내년 3월 대출보증 지원의 상환 유예기간이 만료되는 업체에 대한 대책과 경기신보 출연금 확대 등의 대책이 마련돼야 한다고 입을 모았다.
김현삼(민·안산7) 의원은 "코로나19 국내 발생 이전과 비교해 지원 수요는 크게 늘었지만 지원을 받고도 파산한 기업이 올해만 해도 상당하다"며 "보증을 했는데 상환이 안 되면 경기신보의 보증업무에 차질이 생길 수 있어 대책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또 "대출만기 조정, 위드 코로나로 인한 보증수요 증가 등에 대비하려면 경기신보 출연금에 여유가 있어야 한다"고 덧붙였다.
김영해(민·평택3) 의원도 "내년에 (소상공인·중소기업 등의) 상환 유예기간이 끝나는 만큼 기업 부실률이 높아질 것을 대비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에 대해 이민우 경기신보 이사장은 "매년 31개 시·군에 내년도 사업에 출연금을 반영해달라고 적극 요청한다"며 "철저한 모니터링을 통해 상환 부실 비율과 대위변제율을 관리하기 위해 노력하고 있다"고 말했다.
/명종원기자 light@kyeongin.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