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특히 이들 관외 농산물 중 절반 가까이가 친환경이 아닌 것으로 확인돼 친환경 급식이라는 애초의 취지에서 벗어난 것 아니냐는 우려도 제기됐다.
8일 경기도농수산진흥원을 대상으로 열린 농정해양위원회 행정사무감사에서 민경선(민·고양4) 의원은 "올해 관내 농산물 공급 비율이 유독 떨어진 이유가 무엇이냐"며 "관내 조달이 불가능한 농산물도 있어 100%로 할 순 없지만, 관내 농산물이 지난해보다 약 10%가량 떨어진 이유를 납득할 수 없다"고 지적했다.
올해 8월 기준 친환경 학교급식에 제공되는 농산물 공급 현황을 살펴보면 전체의 68%가 도내에서 생산된 농산물이며, 32%가 경기도 외 지역에서 생산한 농산물이다.
더구나 이들 관외 농산물 중에는 약 56%만이 친환경·유기가공이고, 약 44%가 친환경 인증을 받지 않은 일반 농산물인 것으로 파악됐다. 이는 관내 농산물 68% 중 약 97%가 친환경·G마크 농산물이고, 약 3%만 일반 농산물인 것과 대조되는 수치다.
민 의원은 "친환경급식은 도비와 시·군비 5대5로 이루어진 사업임에도 현재와 같이 사업이 지속되면 신선한 농산물을 빠르게 학생들에게 보급하지 못하는 문제와 함께 도비 유출문제, 도내 농민 소득 증대 및 판로확대라는 사업 목적 자체가 흔들리는 것"이라고 강하게 질책했다.
이에 대해 안대성 농수산진흥원장은 "친환경 농가 추가 선정을 통해 도내 친환경 농산물 비율을 높이고 아이들이 더 신선한 농산물을 먹을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하겠다"고 답했다.
/공지영기자 jyg@kyeongin.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