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재인 대통령이 29일 4개월여만에 특별방역점검회의를 직접 주재했다. 아프리카발 코로나19 새 변이 바이러스인 '오미크론'으로 전세계가 비상이 걸린 심각한 방역상황을 감안한 행보였다. 당초 예정대로라면 정부는 이날 이달부터 시작된 단계적 일상회복(위드 코로나) 1단계 조치의 성과를 평가한 뒤 2단계 실시를 검토할 예정이었다. 군중 집합 제한이 없는 2단계는 일상의 완전회복을 의미하는 방역단계이다.

이날 문 대통령은 "일상회복 2단계 전환을 유보하면서 앞으로 4주간 특별방역대책을 시행한다"고 정부 입장을 정리했다. 정부가 방역대책 강화를 전제로 현행 위드 코로나 1단계 유지를 결정한 데서 새로운 코로나19 위기와 일상 유지 여론 사이에서 오도가도 못하는 정부의 입장을 읽을 수 있다.

위드 코로나 1단계 시행 이후 폭증하는 확진자와 위중증환자로 치료병상이 씨가 마르고 사망자도 늘어났다. 엎친데 덮친다고 지난 9일 보츠와나에서 발견된 오미크론 변이가 급속하게 번지고 있다. 기존 백신이 소용없는 강력한 변이 바이러스 출현으로 영토 봉쇄를 선언하는 국가들이 속출하면서 세계 경제까지 휘청이는 형국이다. 우리도 아프리카 8개국에 입국금지를 통보했다.

기존 바이러스 확진자 폭증에 새로운 바이러스 위협이 추가되자 사회적 거리두기 복귀를 주장하는 전문가들이 늘고 있다. 그러나 정부는 위드 코로나로 회복된 일상을 만끽하는 국민을 다시 사회적 거리두기 단계에 가두기를 망설인다. 국민과의 대화에서 '5천명, 1만명 확진자도 예상한 위드 코로나였다'고 한 대통령의 발언이 식언이었음을 자인하는 정무적 부담 때문일 것이다.

대통령은 특별방역대책의 핵심으로 백신 접종을 강조하며 배석한 장관들에게 전국민 3차접종 조기완료를 독려하고 부진한 청소년 백신접종 실태를 질타했다. 정부는 백신 패스 발급으로 접종을 강제하고 나섰지만 백신 거부자들의 반발은 완강하다. 당연히 준비됐을 것으로 여겼던 치료 병상이 모자라고, 누가 봐도 억울한 백신 사망자들의 사연들이 무시당하면서 정부에 대한 신뢰가 떨어진 탓이다.

대통령은 "어렵게 시작한 단계적 일상회복을 되돌려 과거로 후퇴할 수는 없다"고 밝혔다. 그러나 어렵게 시작한 일상회복이 국민에게 위험하다면 후퇴하는 것이 지도자가 할 일이다. 방역대책은 과학적 영역이지 정무적 영역이 아니다. 정부가 신뢰를 회복해야 국민의 방역 협조를 유지할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