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아주대병원 이비인후과 정연훈 교수팀이 '노화성 난청'을 일으키는 새로운 기전에 대해 발표해 주목받고 있다.
'노화성 난청'은 말 그대로 청각기관의 퇴행성 변화로 수년에 걸쳐 서서히 소리를 듣지 못하는 난청을 말한다. 원인은 다양하게 보고되고 있지만, 아직 명확한 발생기전이 밝혀져 있지는 않으며 세포독성 발생 등의 한계로 치료제 개발에 어려움을 겪어 온 질환이다.
연구팀은 이러한 노화성 난청에서 가장 먼저 듣지 못하게 되는 고음 청취 영역(32㎑ 주파수)의 퇴화 원인이 달팽이관 와우조직의 청각유모세포와 지지세포들의 사멸임을 확인했다고 밝혔다.
HSF1 단백질 감소 '지지세포 사멸' 밝혀
다양한 연구로 폭넓은 치료제 개발 기대
연구팀은 노화성 난청이 동반된 12개월령 마우스에서 2개월령 정상(젊은)군에 비해 고음 청취 영역 부위에서 외유모세포와 지지세포들이 두드러지게 손실된 것을 확인했다.
또 분자생물학적 분석 결과, 단백질 발현을 조절하는 전사조절자인 HSF1 단백질 감소가 HSP70과 HSP40 샤페론 단백질 감소로 이어져 결국 소포체 스트레스와 세포 사멸이 발생한다는 것을 알아냈다.
소포체는 미성숙 단백질이 성숙되는 장소로 이때 성숙과정을 돕는 것이 샤페론 단백질이다. 노화과정에서 생기는 다양한 스트레스는 정상적인 성숙과정을 방해해 단백질의 손상과 변성을 일으킨다.
이번 연구는 노화 마우스에서 고음 청취 영역 부위의 세포사멸과 청력감소를 확인하고, 그동안 잘 다뤄지지 않은 HSF1 단백질을 통한 노화성 난청의 발생 기전을 새롭게 확인했다는 것에 의미가 있다.
정연훈 교수는 "이번 연구가 다양한 원인의 난청 연구에 적용돼 폭넓은 치료제를 개발하는데 도움이 되길 기대한다"면서 "노화성 난청은 방치하면 인지기능 저하로 우울증·치매 등의 위험을 높일 수 있는 만큼 조기 발견이 중요하며 진단 후에는 적극적인 치료가 필요하다"고 설명했다.
/구민주기자 kumj@kyeongin.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