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년 전국 유해화학물질 사고의 30% 가까이가 경기도에서 발생하고, 사고로 20여 명의 사상자가 나오는 등 피해가 심각해 화학 사고에 대응할 추가 대책이 필요하다는 목소리가 나온다.
화학사고 발생 시 현장 조사를 나갈 차량 1대 정도가 도가 갖춘 관련 대책인데, 58억원을 투입해 지난해 문을 연 '119화학대응센터' 같은 전문 시설을 갖춘 인천시와 화학 사고에 대해 극명한 시각차를 보인다는 것이다.
사상자 20여명 발생 등 피해 심각
사업장·공장 절반 가까이 道 밀집
전문 '신속 대응센터' 갖춘 인천과극명한 차
'추가대책' 필요 목소리
10일 환경부 등에 따르면 지난해 전국에서 발생한 유해화학물질 사고 82건 중 23건(28%)이 도에서 발생해 전국에서 가장 많은 것으로 드러났다. 유해화학물질 사고는 소방에 접수된 안전사고 중 폭발이나 누출로 인한 2차 피해가 우려되는 물질을 다루는 사업장 등에서 발생한 화재나 사고를 뜻한다.사업장·공장 절반 가까이 道 밀집
전문 '신속 대응센터' 갖춘 인천과극명한 차
'추가대책' 필요 목소리
도내 사고 비율이 높은 주된 이유는 전국에서 유해화학물질을 다루는 사업장과 공장의 절반 가까이가 도에 밀집해 있기 때문이다.
전국 화학물질 취급 사업장 1만2천여 개 중 5천480개(45%)가 도에 위치해 있으며 지난해 1월 현상액 누출 사고로 6명의 사상자를 낸 파주 LG디스플레이와 4월 불산 누출로 1명의 부상자가 발생한 이천 SK하이닉스 등 대형 사업장도 다수 포진해 있는 상황이다.
반면 사전 안전관리교육과 방독면, 오염 측정기 등을 구비한 화학사고조사 차량밖에 도가 추진하는 대책이 없어 사고 위험성에 비해 대응책이 부족하다는 비판이 나온다.
환경부가 주관해 설치한 화학재난합동방재센터가 시흥에 위치해 있지만 서울, 인천, 경기 등 수도권 전 지역을 관리하고 있어 도내에서 빈번히 발생하는 화학 사고에 대응하기에는 역부족이란 지적이다.
1천638개의 화학 취급 사업장이 위치한 인천시는 심각성을 깨닫고 지난 2018년부터 자체적인 화학 사고 대응센터 설립을 추진해 지난해 12월 문을 열었다. 58억원을 투입해 고성능화학차와 현장에서 인체와 장비 제독이 가능한 다목적제독차 등 지역 내 화재에 신속 대응하도록 장비와 시설을 갖춘 것이다.
이에 대해 도 관계자는 "도에 화학 물질을 다루는 공장과 사업장이 많다 보니 사고 비율이 높은 상황"이라며 "현재 추진하는 사업 외에 별도 센터나 조직을 마련하는 등의 추가 계획은 아직 논의하고 있지 않다"고 말했다.
/고건기자 gogosing@kyeongin.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