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신문협회·한국지방신문협회 등 언론 4단체가 한국언론진흥재단의 '2021 신문잡지 이용 조사' 결과와 관련 오류가 많다며 정부광고 집행 지표 활용을 중단하라고 나섰다.
앞서 언론재단은 지난해 12월30일 '2021 신문잡지 이용 조사' 결과를 발표하고, 신문사별 열독률과 구독률을 공개했다. 문화체육관광부는 이 열독률 자료를 올해부터 정부광고 집행의 핵심 지표로 활용한다고 밝혔다.
이와 관련 한국신문협회·한국지방신문협회·대한민국지방신문협의회·한국신문방송편집인협회는 24일 "이번 조사결과가 표본 선정기준이나 가중치 부여 등이 오류가 많아 신뢰성과 타당성을 상실하고 있다"며 "이러한 열독률 자료를 근거로 정부광고 집행 지표로 삼는 것에 반대하며 해당 자료의 활용을 중단할 것을 촉구한다"고 공동성명을 발표했다.
언론 4단체는 이날 중단 촉구 이유로 조사대상에 영업장과 가판 제외, 지역별 인구수 대비 표본 샘플 비율의 비형평성, 조사대상에 소규모 지역신문 배제, 불투명한 가중치 적용으로 인한 열독률 왜곡 현상, 정부광고 집행의 참고 자료가 아닌 핵심지표 활용은 법률 위임 범위를 넘어선 부당 조치, 막대한 공적자금을 투입한 조사에 많은 결함과 오류, ABC협회의 발행 및 유가부수와 부합하지 않는 점 등을 지적했다.
이들은 "문체부는 지난해 ABC협회 부수인증 방식의 공정성을 문제 삼으며 ABC부수 대신 열독률 등을 정부광고 집행 기준으로 삼겠다고 했다. 대안으로 내세운 새로운 집행기준은 한 치의 오류가 있어서도 안 된다"며 "하지만 이번 조사결과는 정책집행의 준거 기준으로 삼을 수 없을 정도로 오류가 많다. 공정성을 확보하는 데 실패한 이번 조사결과를 그대로 정부광고 집행 기준으로 활용한다면 공정성 시비는 불 보듯 뻔하다"고 주장했다.
이어 언론 4단체는 "문화체육관광부와 언론재단에 정부 정책의 합리성과 공정성을 기할 수 있도록 정부광고 집행 기준을 원점에서 재검토해야 한다. 언론계와 전문가들이 납득할 만한 개선 방안이 마련되기 전까지 이번 열독률 조사 결과를 정부광고 지표로 활용하는 것을 중단해야 한다"며 "열독률 등을 정부광고 집행기준으로 정부부처 등에 제공하고자 한다면 조사결과의 타당성과 신뢰성을 확보한 후에 추진해야 한다"고 촉구했다.
앞서 언론재단은 지난해 12월30일 '2021 신문잡지 이용 조사' 결과를 발표하고, 신문사별 열독률과 구독률을 공개했다. 문화체육관광부는 이 열독률 자료를 올해부터 정부광고 집행의 핵심 지표로 활용한다고 밝혔다.
이와 관련 한국신문협회·한국지방신문협회·대한민국지방신문협의회·한국신문방송편집인협회는 24일 "이번 조사결과가 표본 선정기준이나 가중치 부여 등이 오류가 많아 신뢰성과 타당성을 상실하고 있다"며 "이러한 열독률 자료를 근거로 정부광고 집행 지표로 삼는 것에 반대하며 해당 자료의 활용을 중단할 것을 촉구한다"고 공동성명을 발표했다.
언론 4단체는 이날 중단 촉구 이유로 조사대상에 영업장과 가판 제외, 지역별 인구수 대비 표본 샘플 비율의 비형평성, 조사대상에 소규모 지역신문 배제, 불투명한 가중치 적용으로 인한 열독률 왜곡 현상, 정부광고 집행의 참고 자료가 아닌 핵심지표 활용은 법률 위임 범위를 넘어선 부당 조치, 막대한 공적자금을 투입한 조사에 많은 결함과 오류, ABC협회의 발행 및 유가부수와 부합하지 않는 점 등을 지적했다.
이들은 "문체부는 지난해 ABC협회 부수인증 방식의 공정성을 문제 삼으며 ABC부수 대신 열독률 등을 정부광고 집행 기준으로 삼겠다고 했다. 대안으로 내세운 새로운 집행기준은 한 치의 오류가 있어서도 안 된다"며 "하지만 이번 조사결과는 정책집행의 준거 기준으로 삼을 수 없을 정도로 오류가 많다. 공정성을 확보하는 데 실패한 이번 조사결과를 그대로 정부광고 집행 기준으로 활용한다면 공정성 시비는 불 보듯 뻔하다"고 주장했다.
이어 언론 4단체는 "문화체육관광부와 언론재단에 정부 정책의 합리성과 공정성을 기할 수 있도록 정부광고 집행 기준을 원점에서 재검토해야 한다. 언론계와 전문가들이 납득할 만한 개선 방안이 마련되기 전까지 이번 열독률 조사 결과를 정부광고 지표로 활용하는 것을 중단해야 한다"며 "열독률 등을 정부광고 집행기준으로 정부부처 등에 제공하고자 한다면 조사결과의 타당성과 신뢰성을 확보한 후에 추진해야 한다"고 촉구했다.
/이송기자 snowsong@kyeongin.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