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태성-정치부장.jpg
김태성 정치부장
전투가 치열하면, 그 전쟁이 남기는 후유증도 깊게 된다. 특히 수단과 방법을 가리지 않고 비열한 전투가 이어졌다면, 전쟁에서 패배한 나라도 그 결과를 승복하기는 어렵다.

역대급 '비호감 대선'이라고 불리는 20대 대선도 이제 막바지에 다다랐다. 결과를 예측하기 힘든 대선이라지만 어쨌든 며칠 후면 승자와 패자가 나뉜다.

대선 과정을 지켜보는 국민들은 내내 불편했다. 폭로와 비방 등 네거티브가 선거운동을 주도했고, 서로 얼굴을 붉히는 후보들의 얼굴이 유권자에겐 더욱 익숙해진 상황이다.

선거가 박빙이라 더 그렇다고들 한다. 아무리 그래도 도를 넘어섰다. 후보들뿐만 아니라 진영으로 나눠 서로 헐뜯고 비난하는 게 선거 내내 일상이 됐다. 나는 무조건 옳고 너는 나쁘다, 합리적 비판도 '똥 묻은 개 겨 묻은 개 보고 짖는다'는 식으로 서로 으르렁댄다. 정치가 아니라 말 그대로 '개 싸움'이다. 자신들도 이를 아는지 '정치보복'에 대한 신경전도 이미 여러 번 치렀다.

정치는 선거고 선거는 승복인데 과연 이들이 결과에 대해 승복할 수 있을까.  


여당 승리땐 국회 의석수로 野 고립시키고
야당이 이기면 거대 여당과 사사건건 대립


박빙의 승부라 불렸던 대선이기에 박빙의 결과가 나올 가능성이 크다. 문제도 박빙에서 나온다. 누가 승자가 되더라도 과반을 확보하지 못했을 경우, 패자가 과연 승자의 손을 흔쾌히 들어줄 것인가라는 의구심이 든다. 이미 선거운동 과정에서 서로를 인정하지 않았다. 상대가 당선되면 '검찰공화국', '비리공화국'이 된다고 각자 떠들어 댔다. 주워담기엔 말에 너무 날이 섰다.

패배를 해도 자신들의 모자람보다 선거 과정의 네거티브를 탓할 것이다. 후보 자신뿐만 아니라 그들 옆에 있고 그들을 대변하는 사람들 모두가 그럴 가능성이 농후하다.

국민은 차기 정부에 대대적인 혁신을 요구하고 있다. 경제 동력을 좌우할 출생률은 세계 최저 수준이고, 자살률과 노인빈곤율도 OECD 국가 중 가장 선두에 서 있다.

이 때문에 정치에 기대하고 선거에 관심을 기울였다. 하지만 당면한 과제에도 불구하고 네거티브만 판쳤고 이를 해결할 비전은 국민에게 잘 설명되지 않았다.

유권자는 또다시 누가 덜 나쁜 후보고 세력인가를 골라내야 하는 차악에 대한 선택을 강요받고 있다. 정치는 이번에도 배신을 했다. 선거 후 더 가혹한 배신으로 기록될지도 모른다.

우리 사회의 가장 중요한 문제는 갈등이다. 지역 갈등·노사 갈등은 옛 버전이다. 서로를 인정하지 않은 세대, 서로를 혐오하는 성별 등의 갈등이 우리 사회를 지배하고 반으로 갈라놓고 있는 게 현실이다.

심각한 사회갈등은 지표에도 나타나 있다. 전국경제인연합회가 OECD 30개국을 대상으로 '갈등 지수'를 산출해 봤더니, 한국의 갈등 지수는 세 번째로 높았다는 분석 결과도 있다.

'적폐청산' 이냐 '정치보복'이냐 또다시 재생
5년간 들어야 할 국민들의 고생길도 훤하다


이러한 갈등을 풀어내고 사회를 올바른 방향으로 이끌 수 있도록 하는 것이 정치권, 그리고 앞으로 5년 대한민국을 이끌 대통령이 할 일이다. 하지만 오히려 이들이 막장 드라마급 갈등의 끝을 보여주고 있으니 국민들은 혀를 찰 수밖에 없다.

대선 이후가 더 문제다. 여당이 이기면 압도적 국회 의석수를 토대로 야당을 고립시키는 정치를, 야당이 이기면 거대 의석을 가진 여당과 사사건건 다투며 대립할 게 자명하다. 이미 서로를 '거악'으로 규정했는데, 과연 그 말을 뒤집고 정치개혁과 협치를 할 수 있을까.

새 대통령의 첫 과제도 아마 자신의 말을 주워담는 일일 가능성이 높다. 수 없이 반복해 지적한 상대 후보에 대한 결점과 의혹을 묻을 수도, 그렇다고 집요하게 캐기도 어려운 난처한 상황에 직면해야 한다. '적폐청산'이냐 '정치보복'이냐 라는 말을 또다시 5년간 재생할 정치권과 이를 들어야 하는 국민들의 고생길도 훤하다. 누가 되든 그렇다. 그래서 더 문제다.

/김태성 정치부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