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기도 생활폐기물 소각장에서 일하는 노동자들이 발암물질 노출을 우려하며 각 사업장에 위해요소가 존재하는지 여부를 조사해 달라고 경기도에 요구하고 있다.
16일 공공운수노조 경기지역지부에 따르면 경기도에는 총 26곳의 생활폐기물 소각시설이 있다. 소각장 처리 용량에 따라 직원 수는 다르지만, 각 지역 소각장에는 보통 30~50명가량이 근무한다.
길게는 29년, 짧게는 8년째 가동 중인 도내 소각장에서 일하고 있는 노동자들이 발암물질 노출 위험을 자각한 건 비교적 최근 일이다. 지난 2일 전국환경시설노조와 기본소득당은 서울지역 일부 소각장과 소속 노동자를 대상으로 산업안전보건연구원이 작업환경을 측정한 결과 자료를 발표했다.
이 연구 결과에 따르면 소각장 노동자들의 혈중 다이옥신 농도는 고엽제에 노출됐던 베트남전 참전용사들에게 검출된 수치보다 높았다.
조사 결과, 혈중 다이옥신 농도
베트남전 참전 용사들보다 높아
그동안 문제제기가 이뤄지지 않았던 이유는 소각장 노동자들이 매년 받는 특수건강검진에 몸속 다이옥신 축적 여부를 확인할 수 있는 항목이 아예 없었기 때문이다. 반기에 1번씩 이뤄지는 작업환경측정 항목에도 물론 포함되지 않은 상태다.
도내 소각장 노동자들은 경기도에 정밀한 실태조사를 요구하는 한편, 다이옥신 등 발암물질을 작업환경측정과 특수건강검진 대상 항목으로 지정해달라고 요구하고 있다.
특수건강검진서 항목 없어 제외
근로자, 道에 위해요소 조사 촉구
곽경준 경기지역지부 화성소각장분회장은 "소각장 인근 주민들을 위한 영향평가에는 관심이 많았지만, 정작 안에서 일하는 노동자들의 건강에는 관심이 부족했다"며 "발암물질에 노출될 수 있다는 사실을 알게 되니 조합원들의 걱정이 크다. 경기도가 소각장 작업환경이 안전한지부터 조사해주길 바란다"고 말했다.
이에 대해 경기도 관계자는 "각 지역 소각장 관리 업무는 기본적으로 시·군이 한다. 지금은 사안과 관련한 모니터링 정도만 하고 있다"며 "추후 지자체나 노조 등에서 협의 요청이 들어오면 그때 판단할 것"이라고 설명했다.
/배재흥기자 jhb@kyeongin.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