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박리성 골연골염은 관절의 골연골이 주변 뼈에서 떨어져 나와 골연골 조각이 발생하는 질환으로 무릎뿐 아니라 팔꿈치, 발목 등에서 발생할 수 있다. 박리성 골연골염의 증상으로는 관절주위의 통증, 관절의 상당한 붓기, 잠김현상(떨어져 나온 골연골이 관절 내에서 뼈 사이에 끼면서 무릎이나 팔이 굽어지지 않고 잘 펴지지도 않고 특정 각도에서 움직이지 않는 현상), 힘빠짐, 관절 내의 소리, 대퇴근육의 약화, 관절가동범위의 제한 등이 있다. 실제 진료실에 내원한 환자들은 무릎의 통증과 간헐적인 힘빠짐, 슬개골 주위에서의 퍽하는 소리, 무릎이 잠기거나 뭔가가 걸리는 느낌을 주로 호소하며 내원한다.
주변뼈에서 분리 증상… 원인 안 밝혀져
상태 좋지 않을땐 자가줄기세포 치료도
특히 발목에서 나타나는 박리성 골연골염은 다른 관절보다 더 큰 불편을 겪을 수 있다. 팔꿈치관절과 다르게 체중이 실리는 부위이고, 무릎과 다르게 관절면적이 좁기 때문에 체중이 더욱 많이 쏠리기 때문이다. 또한 무릎 연골 두께는 3~6mm인데 반해 발목 관절의 연골의 두께는 1mm에 불과해 외력에 취약하다.
손상된 연골은 자연적으로 재생되기 어렵다. 이 때문에 운동 중 부상이 발생했다면 방치하지 말고 꼭 병원을 찾아 정확한 진단을 받아야 한다. 박리성 골연골염 치료는 떨어져 나간 연골손상 정도에 따라 달라지는데 전체 두께의 50% 미만의 손상의 경우에는 비수술적 치료법(연골 주사나 재생 주사, 체외충격파 치료 등)으로 치료할 수 있으며 치료 중에도 무리하지 않는 범위 내에서의 스포츠 활동도 가능하다.
전체 두께의 50% 이상 손상의 경우에는 수술적 치료를 해야 하는데, 떨어진 연골편의 상태가 좋다면 원래의 자리에 나사로 고정해줄 수 있으며, 상태가 좋지 않다면 미세천공술(뼈에 구멍을 내어주는 술식으로 뼈에서 나오는 자가줄기세포로 연골재생을 시도하는 수술법), 자가연골이식술, 줄기세포치료술로 치료할 수 있다.
예방을 위해 활동 전 근육에 자극을 주는 적절한 스트레칭을 강조하고 있다. 스트레칭은 근육, 뼈와 근육의 연결부위인 건, 인대 등을 늘려 관절의 움직임을 원활하게 하고 혈액순환과 운동 수행능력을 향상시키기 때문이다. 또 관절의 힘을 기르는 근력강화운동을 꾸준히 진행하고, 부상 시 작은 통증이라도 관심을 가져야 한다. 10대 초반에서 많이 발생하기 때문에 청소년기의 성장통이라고 생각하고 방치하는 경우가 종종 있는데, 강도 높은 운동을 하는 아이가 특별한 원인 없이 무릎이나 팔꿈치 등의 통증을 호소한다면 이 증상을 의심해볼 필요가 있으며 필요한 경우 정형외과 진료로 적절한 치료를 요한다.
특히 발목에서 나타나는 박리성 골연골염은 다른 관절보다 더 큰 불편을 겪을 수 있다. 팔꿈치관절과 다르게 체중이 실리는 부위이고, 무릎과 다르게 관절면적이 좁기 때문에 체중이 더욱 많이 쏠리기 때문이다. 또한 무릎 연골 두께는 3~6mm인데 반해 발목 관절의 연골의 두께는 1mm에 불과해 외력에 취약하다.
손상된 연골은 자연적으로 재생되기 어렵다. 이 때문에 운동 중 부상이 발생했다면 방치하지 말고 꼭 병원을 찾아 정확한 진단을 받아야 한다. 박리성 골연골염 치료는 떨어져 나간 연골손상 정도에 따라 달라지는데 전체 두께의 50% 미만의 손상의 경우에는 비수술적 치료법(연골 주사나 재생 주사, 체외충격파 치료 등)으로 치료할 수 있으며 치료 중에도 무리하지 않는 범위 내에서의 스포츠 활동도 가능하다.
전체 두께의 50% 이상 손상의 경우에는 수술적 치료를 해야 하는데, 떨어진 연골편의 상태가 좋다면 원래의 자리에 나사로 고정해줄 수 있으며, 상태가 좋지 않다면 미세천공술(뼈에 구멍을 내어주는 술식으로 뼈에서 나오는 자가줄기세포로 연골재생을 시도하는 수술법), 자가연골이식술, 줄기세포치료술로 치료할 수 있다.
예방을 위해 활동 전 근육에 자극을 주는 적절한 스트레칭을 강조하고 있다. 스트레칭은 근육, 뼈와 근육의 연결부위인 건, 인대 등을 늘려 관절의 움직임을 원활하게 하고 혈액순환과 운동 수행능력을 향상시키기 때문이다. 또 관절의 힘을 기르는 근력강화운동을 꾸준히 진행하고, 부상 시 작은 통증이라도 관심을 가져야 한다. 10대 초반에서 많이 발생하기 때문에 청소년기의 성장통이라고 생각하고 방치하는 경우가 종종 있는데, 강도 높은 운동을 하는 아이가 특별한 원인 없이 무릎이나 팔꿈치 등의 통증을 호소한다면 이 증상을 의심해볼 필요가 있으며 필요한 경우 정형외과 진료로 적절한 치료를 요한다.

지금 첫번째 댓글을 작성해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