올해 1분기 가계 월평균 소득이 482만5천원으로 조사됐다. 전년 동기 대비 10.1% 늘어난 건데 근로소득과 사업소득, 이전소득 전반에 걸쳐 모두 증가하면서 통계 작성 이래 가장 높은 증가를 보였다.

가계 월평균 지출도 349만6천원으로 1년 전 대비 6.2% 올랐다. 가파르게 오른 물가 등이 원인으로 꼽힌다.

통계청은 19일 '1분기 가계동향조사'를 통해 이 같은 조사결과를 발표했다. 이번 1분기 가계 월평균 소득은 통계작성 이래 가장 높은 증가 폭을 보였다.

근로·사업·이전소득 모두 늘며 전년비 10.1% 올라
취업자 증가·서비스 업황 개선 등 사회 전반적 영향

통계청 이진석 가계수지동향과장은 "2006년 통계 작성 이후 높은 증가를 보였다"며 "작년 대비 기저효과에 취업자 증가, 서비스 업황 개선, 코로나 사회수혜금 증가와 같은 소득이 전반적으로 늘어서 높은 증가율을 보였다"고 설명했다.

근로소득 10.2%, 사업소득 12.4%, 이전소득 7.9% 등 경상소득이 전반적으로 올랐다. 특히 이전소득에선 방역지원금 등으로 인해 공적이전소득이 9.5%로 더 많이 올랐다. 실제 분위별 소득에서도 1분위 공적이전소득이 15.9%, 3분위 15.3%, 5분위 20.6% 등으로 공적이전소득 오름세가 컸다. 다만 중간에 낀 2분위는 되려 4.4% 줄었고, 4분위도 1.6% 증가에 그쳤다.

소득 5분위별 월평균 소득은 하위 20%인 1분위가 104만3천원으로 전년 대비 14.6% 증가했다. 처분가능소득도 84만7천원으로 16.4% 올랐다. 2분위는 254만1천원으로 10.4%, 3분위는 395만2천원으로 9.2%, 4분위는 575만원으로 7.1%, 상위 20%인 5분위는 1천83만3천원으로 11.5% 올랐다. 5분위 가구는 사업소득 증가율이 22.5%로 사회적 거리두기 완화에 따른 업황 개선의 혜택을 가장 크게 입었다. 소상공인 지원금도 5분위 가구에 쏠리면서 공적이전소득 증가액도 65만4천원으로 증가율이 가장 컸다.

소득 분배도 개선 추세다. 균등화 처분가능소득 5분위 배율(5분위 소득을 1분위 소득으로 나눈 배율)은 6.2배로 1년 전 6.3배보다 소폭 낮아졌다. 이 같은 흐름은 3분기 연속 하락하면서 개선되고 있다. 이 과장은 "1분위에서 근로소득이라든가, 취업자 수 증가에 따른 근로소득 등이 증가하면서 5분위보다는 1분위에서 소득 증가율이 조금 더 높다"며 "격차나 배율이 상대적으로 낮아진 것"이라고 부연했다.

월평균 소비지출은 4.7% 그쳐 물가상승 원인인 듯

소득이 증가한 만큼 지출이 늘진 않았다. 물가상승률이 반영됐을 뿐, 신규 소비가 늘진 않았다는 의미다.

가계지출 자체는 349만6천원으로 1년 전보다 6.2% 늘었지만, 월평균 소비지출은 253만1천원으로 전년동기대비 4.7% 증가에 그쳤다. 물가변동 영향을 제거한 실질소비지출이 0.8% 증가에 그친 점을 고려하면 전체 증가율 중 3.9%는 물가상승에 따른 것으로 해석된다.

품목별로도 음식·숙박(13.9%), 교육(13.5%), 보건(7.5%) 등과 국제유가 상승 영향으로 운송기구연료비(17.5%) 등이 올랐다. 가정용품·가사서비스(-10.4%)와 주류·담배(-0.6%)는 줄었다. 이 과장은 "가처분소득도 많이 증가했지만, 소비지출은 소득에 비해 아직 회복되지 않은 걸로 보고 있다"고 설명했다.

세금과 사회보험료를 비롯한 1분기 비소비지출은 96만5천원으로 1년 만에 10.5% 증가했다. 소득세·재산세 등 경상조세가 28.3%, 사회보험료 지출도 10.3% 올랐다.

/김동필기자 phiil@kyeongin.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