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기·인천·서울 광역단체장 3자협의체 구성이 현실화되고 있다. 김동연 경기도지사 당선인은 13일 오세훈 서울시장, 유정복 인천시장 당선인을 직접 찾아 연쇄회동을 가졌다. 이 자리에서 누가 먼저랄 것도 없이 수도권 광역단체장 3자협의체 구성을 제안했고 공감했다. 김 당선인은 민주당, 유 당선인과 오 시장은 국민의힘 소속이다. 당적이 다른 수도권 광역단체장 협의체 구성은 획기적이다. 자치행정 역사의 이정표가 될 수 있다.

특히 경기도지사와 서울시장은 당선만으로 곧바로 차기 대권후보군에 포함될 정도로 정무적인 위상이 대단한 단체장이다. 정치적으로 경쟁하는 입장에서 정책 연대 및 공조를 추구하는 협의체를 구성한다는 것은 대단한 결단이다. 때론 양보하고 때론 손해 보는 협의 결과로 인한 정치적 손익이 엇갈릴 수 있기 때문이다.

세 당선자가 협의체 구성에 이른 동력은 각자의 합리적 이력에서 비롯된 것으로 보인다. 김 당선인은 이성적이고 합리적인 정책 수립과 시행에 단련된 정통 경제관료 출신이다. 유 당선인 역시 정통 행정관료로서 광역 및 통합행정의 달인이다. 오 시장은 정치인 출신이지만 최초의 4선 서울시장 당선 이력으로 자치행정의 맥락에 정통한 인물이다.

수도권은 광역과 기초단체의 행정구역으로 복잡하게 분할돼 있지만 2천600만 거주민들의 삶은 유기적이고 통합적으로 연결된 상호의존적 거대 공동체이다. 경기도 인구의 조력이 없으면 서울의 산업은 마비되고, 서울의 부동산 정책이 경기·인천을 뒤흔든다. 인천이 수도권매립지를 폐쇄하면 경기·서울은 쓰레기에 파묻힌다. 정치적 이기심으로 3개 광역단체의 자치행정이 따로 놀면 효과는 제한적이고 피해는 수도권 전체에 미치는 결과를 초래한다.

합리적인 행정 이력으로 단련된 세 당선자들이 정치적 유불리를 떠나 협의체 구성에 동의한 것은 상식적으로 당연한 귀결이었을 것이다. 쓰레기매립지 문제를 비롯해 GTX건설, 광역버스 노선확대, 부동산정책 공조 등 협의할 광역의제는 무궁무진하다. 김동연·유정복·오세훈 3자협의체의 정례화가 필요하다. 합의한 광역의제는 오세훈 서울시장을 통해 국무회의 의제로 올려 관철시킬 수도 있다.

망외의 소득도 예상된다. 김동연 당선인과 오 시장은 선의의 협력과 경쟁을 통해 각자의 정치적 외연을 수도권 전체로 확장시키며 상대의 정치적 성장을 견인할 수 있다. 국민들이 가장 보고 싶어 하는 장면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