업체들은 고객을 붙잡기 위해 상대편의 흠집을 물고 늘어지는 공격적인 광고전을 본격화하는 한편 출혈적인 마케팅 및 서비스도 경쟁적으로 도입하는 모습이다.

이로인해 휴대폰 사용자들은 때아닌 '서비스 홍수'를 맞고 있으나 이같은 과당경쟁은 결국 업체들의 부실로 이어져 통신업계의 경쟁력을 약화시킬 수 있다는 우려를 낳고 있다.

내년 1월1일부터 우선적으로 번호이동성제의 대상이 될 SK텔레콤은 지난 7일부터 자사고객들에게 본인동의 없이 가입자 정보를 수집하거나 예약가입을 종용할 경우 신고해줄 것을 e-메일과 전단지 등을 통해 당부하는 한편 홍보와 신고전용 인터넷사이트를 개설하고 나섰다. SK텔레콤이 발송한 메일 및 전단지에는 특히 '번호이동성을 신청할 경우 번호는 유지되지만 통화품질은 포기해야 한다'며 타사와 요금제 및 통화품질을 비교하며 자사의 우위를 강조하는 내용이 포함됐다.

이에 LG텔레콤은 곧바로 10일부터 신문광고 등을 통해 반격에 나섰다. LG텔레콤측은 'SK텔레콤이 LG텔레콤 요금제를 의도적으로 비교·비방하고 신빙성 없는 통화품질 폄훼내용과 함께 LG텔레콤의 약정할인 프로그램과 번호이동성에 대해 잘못된 정보를 무차별적으로 살포하고 있다'며 SK텔레콤측에 공정경쟁을 촉구했다.

LG텔레콤과 KTF는 또 10일 공동 보도자료를 통해 “번호이동성의 실효성을 확보하기 위한 건의문을 정통부에 제출했다”고 밝혔다.

양사에 따르면 이 건의문은 번호이동성제 도입시 소비자의 사업자 선택권을 보장하기 위한 제도적 보완을 요구하고 있다. 구체적으로 후발사업자에 한해 5만~10만원의 보상기변 허용, 선발사업자의 할부제도 폐지, 후발사업자의 프로모션 범위 확대, 후발사업자로 전환가입시 선발사업자의 마일리지 보상 등을 담고 있다.

그러나 이같은 건의는 실질적으로 SK텔레콤의 마케팅을 제한하고 LG텔레콤과 KTF의 마케팅은 제한을 완화해 달라는 것이어서 SK텔레콤측의 강력한 반발이 예고되고 있다.
이같은 공방에 앞서 이동통신업체들간의 마케팅 경쟁도 더욱 치열해지고 있다.

LG텔레콤은 지난달 13일부터 휴대폰을 분실하거나 AS를 원하는 고객에게 자사 직원이 직접 방문하는 파격적인 '엔젤서비스'에 들어간데 이어, 지난 3일부터는 홈페이지 개편을 기념하는 대대적인 이벤트를 진행하고 있다. 특히 LG텔레콤은 엔젤서비스를 통해 AS비용이 2만원을 넘을 경우 수리비까지 보조하고 있는 상황이다.

KTF도 5일부터 '상담 불만족 보상제도'를 도입, 대리점이나 멤버스플라자에서 고객이 상담하는 과정에서 만족을 얻지 못했을 경우 그자리에서 프리카드 2천~5천원권을 가져갈 수 있도록 하며 공세를 강화했다.

SK텔레콤도 지난 3일부터 고객에게 적합한 요금상품과 서비스를 자동으로 설계해 제안하는 '모바일플래너 서비스'를 개발해 본격적인 운영에 들어가며 대대적인 홍보에 나서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