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2062701000966400047881

"코로나19라는 절망 끝에서 희망을 찾았다고나 할까요. 정말 상투적인 말이지만 이 말이 가장 적합한 거 같습니다."

코로나19가 종식된 것은 아니지만 팬데믹(감염병의 세계적 유행)으로 번진 지난 2년간은 자영업자들에겐 악몽과도 같은 시기였다. 물론 지금도 악몽이 끝난 것은 아니지만 박범진 IEF&S(IE푸드 서비스·사진) 대표에게는 특히 이 기간이 가혹하리만치 힘든 시간이었다.

"요식업에 뛰어든 지 10년이 넘었다. 시장에서 반응이 좋아 직영매장을 10곳 가량 운영했다. 하지만 코로나19가 삶을 송두리째 흔들었다. 2019년도 후반부터 시작된 코로나19는 상상 이상이었고, 이로인해 이듬해 매장 10여곳을 권리금 한푼 없이 닫게 됐다. 억단위가 넘는 보증금들이 있었지만 밀린 월세, 직원 인건비, 각종 공과금을 정리하고 나니 통장에 남은 잔고는 200만원이 채 되지 않았다"는 박 대표.

시장 반응 좋아 직영매장 10곳
팬데믹에 삶 송두리째 흔들려
권리금 한 푼 없이 모두 문닫아


그는 절망 속에서 무작정 차를 몰았고, 계획없이 도착한 곳이 강릉이었다.

"살아야겠기에 밥집을 찾았고 그곳이 강릉 현지의 초당순두부집이었다. 맛을 본 순간 이거다 싶었다. 그래서 무작정 순두부업체를 찾아 납품을 부탁했다. 하지만 녹록지 않았고 고개 숙여 가며 계속 문을 두드리자 결국 납품계약을 따내게 됐다"는 그는 사실 요식업에서 안 해본 거 없이 종목을 가리지 않고 운영한 경험을 갖고 있다. 돼지, 소고기, 횟집, 술집, 치킨집 등등.

"전에 곱창집을 운영하면서 곁들임으로 짬뽕국물을 냈다. 생각보다 반응이 좋았다. 부모님이 중국음식점을 운영하실 때 옆에서 봤던 레시피로 짬뽕국물에는 자신이 있었다. 초당순두부와 결합된 짬뽕순두부는 남녀노소 누구나 좋아했다. 입소문을 타고 프랜차이즈로 사업이 확장됐는데 현재 전국에 20여개까지 가맹점이 늘어났다"고 설명했다.

무작정 차몰고 간 초당순두부집
고개 숙이고 문두드려 납품계약
입소문에 확장… 가맹점 20여곳


해당 브랜드는 '강릉초당 짬뽕순두부'.

박 대표는 "토종 국내 브랜드로서 자부심이 크다. K한류 붐에 K푸드도 각광받고 있다. 여기에 우리도 일조할 수 있다고 본다. 누구나 좋아하는 아이템이기도 하고, 식사·안주·야식까지 가능한 메뉴이지 않나. 건강 트렌드에 맞춘 강릉에서 직접 공수해온 초당순두부와 국내산 재료로 더욱 건강하게 만들겠다"고 포부를 전했다.

박 대표는 여기서 그치지 않는다. 다음달 위탁생산(OEM)으로 자체 두부를 만들어 일반 마트에 유통시킨다는 계획까지 추진되고 있다.

/이윤희기자 flyhigh@kyeongin.com, 사진/임열수기자 pplys@kyeongin.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