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선 8대 김동연 경기도지사의 임기가 시작됐다. 향후 4년간 김 지사가 그려나갈 자치 행적에 경기도민의 민생과 경기도의 미래가 걸려있다. 자신을 경기도지사로 선택한 민심의 무게를 되새겨야 한다.

김 지사는 6·1 지방선거에서 정치적 거물이 됐다. 전국적인 민주당 몰락에도 최대 광역자치단체인 경기도에서 승리한 덕분이다. 8천913표(0.15%p 차)로 거둔 여명의 역전극은 정치적 신화가 됐다. 여론조사 업체들은 그를 대권후보 반열에 올렸고 언론은 그의 언행을 정치적으로 해석하고 있다.

김동연이 이 함정에 빠지지 않기를 바란다. 그를 향한 정치적 기대에 순응하면 경기도는 정치 참호로 전락한다. 이재명 전 지사가 반면교사다. 유동규가 경기관광공사에 숨어있었고, 지사 부인은 5급 공무원을 수행비서로 부렸다. 측근인 경기주택도시공사 대표는 점조직처럼 직원숙소를 개설했고, 신설된 공공기관에는 지사 사람들이 배치됐다. 그들은 지사와 함께 대권을 지향했다.

김동연의 승리는 합리적 중도 민심이 기성 정치인과 결이 다른 그의 실용적 경력과 합리적 인격을 선택한 결과이다. 이재명 덕분도 아니고 민주당 덕분은 더더욱 아니다. 김동연은 중도 민심이 명령한 자리, 경기도 자치행정의 수반으로서의 경기도지사직에 정확하게 자신을 정위치해야 한다.

정통 경제관료로 정점을 찍은 김 지사의 경력에 비추어 보면 그가 직면할 자치현장의 관행은 개혁의 대상일 것이다. 지난 30년 동안 권력과 이권 다툼에 골몰하는 중앙 정치를 답습해 온 자치현장은 온갖 적폐를 쌓아왔다. 당파와 토호와 정치적 사욕이 빚어낸 자치 적폐만 일소해도 김 지사는 지방자치 개혁의 주인공으로 우뚝 설 수 있다.

여야 78 대 78의 경기도의회는 비정상적인 지방자치를 정상화할 동력이다. 김 지사는 도민 이익을 위한 최선에 합의하는 자치 정신을 구현할 리더십을 발휘할 수 있다. 수도권 단체장 협의체 구성, 경쟁 후보 공약 수용 등 여야를 초월한 실용적 언행에 여론이 호응하는 건 지금껏 보지 못했던 신선한 자치행보였기 때문이다.

당파를 초월해 지방자치 이익을 실현하는 실용적 자치행정 개혁만으로도 김 지사는 도민과 경기도에 큰 업적을 남길 수 있다. 그의 말대로 도민이 내준 어려운 숙제에 도민 삶의 실질적 변화로 답하는 지사로 성공하기 바란다. 대권 도전은 성공한 도지사의 성과급이어야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