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민주.jpg
구민주 문화체육레저팀 기자
문화예술 분야라고 해서 정치의 입김에서 자유로울리 없다. 실력에 상관없이 이해관계만 따지거나, 정책의 성격에 따라 사업이나 창작의 지속성과 연속성을 담보하기 어려운 모습을 적잖이 봐왔다. 정치가 문화예술이 성장하는 데 뒷받침이 되는 디딤돌이나 거름 역할이 아니라, 앞에서 이를 끌고 가며 필요에 따라 휘두르는 것이 문제였다. 그래서인지 올해 선거를 앞두고도 혹시나 새로운 수장이 문화에 관심이 없어 예산이나 지원 규모를 축소 시키지는 않을까하는 현장의 우려 섞인 목소리를 꽤 들었다.

정치 성향과는 무관하게 시나위의 기타리스트 신대철 씨가 밝힌 문화정책에 대한 소신은 눈길을 끌었다. 그는 "문화적으로 풍족해야 잘 사는 것"이라며 "문화의 향유는 시민의 권리"라고 강조했다. 또 "문화의 소비와 체험을 위해 멀리까지 가야 한다면 불행한 것"이라며 "리스크가 큰 문화산업에 공공이 인프라를 제공하는 데 인색해서는 안 된다"고 했다.

개인적으로 지난 몇 년간 봐온 경기도의 문화예술에 대한 시각은 '지향점'을 잃은 느낌이었다. 생색내기 좋은 하나의 호혜적 도구로 이용되며 알맹이를 잃어버렸다. 신 씨의 주장에 수긍했던 이유이다. 어떻게 하면 시민들이 수준 높고 다양한 문화 콘텐츠를 더 많이 누리게 할 것인지, 이를 보여줄 예술가들이 좀 더 많은 기회를 얻게 할 방법은 무엇인지, 우리 주변의 문화 시설을 잘 활용하는 방법은 뭐가 있을지 등에 대한 여러 고민은 뒷전이었으니 말이다.

이러한 현실의 기저에는 문화예술에 왜 투자하고 지원해야 하는지에 대해 여전히 의문을 갖고 있는 정치 논리와 맞닿아 있을지 모른다. 케케묵은 이야기 같지만 지금도 계속해서 나오는 걸 보면 인식은 쉽게 바뀌지 않는 모양이다. 지방선거가 끝나고 한 달. 새로운 출발점에 선 정치가 문화예술에 과연 어떤 모습을 하고 나타날지 자못 궁금해진다.

/구민주 문화체육레저팀 기자 kumj@kyeongin.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