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도권 공사 현장에 또다시 긴장감이 감돌고 있다. 골조공사 전문업체들이 셧다운을 예고해서다.
골조공사 전문업체들의 모임인 '철근콘크리트 서울·경기·인천 사용자연합회(이하 연합회)'는 공사비 증액에 비협조적인 시공사에 대해 11일부터 현장 셧다운을 결정했다. 수도권 32개 시공사의 60개 건설 현장이 대상이다.
골조공사 전문업체들의 모임인 '철근콘크리트 서울·경기·인천 사용자연합회(이하 연합회)'는 공사비 증액에 비협조적인 시공사에 대해 11일부터 현장 셧다운을 결정했다. 수도권 32개 시공사의 60개 건설 현장이 대상이다.
32개 시공사 60개 건설현장 대상
"원자재값 올라 비용조정 불가피"
레미콘업계 파업 이어 사업 암초
이미 지난달 8일 연합회는 대표자 회의에서 11일 셧다운을 결정한 바 있다. 원인은 건설 자재비 및 인건비 상승이다. 연합회는 자재비·인건비 상승 등을 이유로 공사현장 348곳에 건설 계약금 인상을 요구했다. 288곳은 조정 협의를 마쳤거나 원활하게 진행 중이지만 나머지 60곳은 그렇지 않다.
연합회가 셧다운을 거론한 것은 이번이 처음은 아니다. 같은 이유로 연합회는 시공사에 공사 계약금 20% 인상을 꾸준히 요구하고 있지만, 일부 시공사들은 난색을 표하고 있다. 이에 지난 3월 일부 공사 현장이 일시적으로 가동을 멈추기도 했다.
연합회 관계자는 "급격한 자재비 상승에, 인건비 상승까지 더해져 기존에 정해진 공사비로는 도저히 공사를 할 수가 없다. 그래서 원청사에 지난해 11월부터 비용 증액을 수차례 요구했다. 비용 조정에 비협조적인 시공사에 대해선 셧다운에 돌입할 것"이라고 말했다.
수도권 공사 현장은 지난달부터 가동에 있어 가다서다를 반복하고 있다. 지난달 초 민주노총 화물연대 총파업에 따라 화물차들이 시멘트 운송에 나서지 않으면서 전국 1천여개 레미콘 공장 중 90% 이상이 가동을 멈췄다.
파업이 일단락된지 보름여만인 이달 초에는 한국노총 레미콘운송노조가 삼표산업 등 수도권 주요 레미콘 제조사들에 운송료 인상을 요구하며 사흘간 파업을 벌였다. 그리고 1주일 만인 11일 골조공사 전문업체들의 셧다운으로 다시 멈춰설 처지다.
/서승택기자 taxi226@kyeongin.com
"원자재값 올라 비용조정 불가피"
레미콘업계 파업 이어 사업 암초
이미 지난달 8일 연합회는 대표자 회의에서 11일 셧다운을 결정한 바 있다. 원인은 건설 자재비 및 인건비 상승이다. 연합회는 자재비·인건비 상승 등을 이유로 공사현장 348곳에 건설 계약금 인상을 요구했다. 288곳은 조정 협의를 마쳤거나 원활하게 진행 중이지만 나머지 60곳은 그렇지 않다.
연합회가 셧다운을 거론한 것은 이번이 처음은 아니다. 같은 이유로 연합회는 시공사에 공사 계약금 20% 인상을 꾸준히 요구하고 있지만, 일부 시공사들은 난색을 표하고 있다. 이에 지난 3월 일부 공사 현장이 일시적으로 가동을 멈추기도 했다.
연합회 관계자는 "급격한 자재비 상승에, 인건비 상승까지 더해져 기존에 정해진 공사비로는 도저히 공사를 할 수가 없다. 그래서 원청사에 지난해 11월부터 비용 증액을 수차례 요구했다. 비용 조정에 비협조적인 시공사에 대해선 셧다운에 돌입할 것"이라고 말했다.
수도권 공사 현장은 지난달부터 가동에 있어 가다서다를 반복하고 있다. 지난달 초 민주노총 화물연대 총파업에 따라 화물차들이 시멘트 운송에 나서지 않으면서 전국 1천여개 레미콘 공장 중 90% 이상이 가동을 멈췄다.
파업이 일단락된지 보름여만인 이달 초에는 한국노총 레미콘운송노조가 삼표산업 등 수도권 주요 레미콘 제조사들에 운송료 인상을 요구하며 사흘간 파업을 벌였다. 그리고 1주일 만인 11일 골조공사 전문업체들의 셧다운으로 다시 멈춰설 처지다.
/서승택기자 taxi226@kyeongin.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