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진주.jpg
유진주 인천본사 정치부 기자
대학생 때였다. 매일 약 2시간 거리를 통학하는 나에게 '광역버스'는 빼놓을 수 없는 교통수단이었다.

수강신청 실패로 1교시 수업이 많았던 학기에는 학교 가는 아침이 늘 지옥이었다. 광역버스는 일반 버스보다 배차간격이 긴 편이다. 눈앞에 버스가 도착했을 때, 버스좌석이 전부 차 있는데도 '이 버스 놓치면 큰일 난다'는 생각에 몸부터 욱여넣었던 기억이 난다. 고속도로를 달리는 버스에서 손잡이도 없이 서서 탔다. 사고가 안 나서 다행이지 지금 생각해보면 참 아찔한 기억이다.

국토교통부는 2014년 7월16일자로 고속도로·고속화도로를 경유하는 광역버스의 입석 승차를 금지했다. 광역버스에서 좌석 안전띠를 착용하지 않는 입석 승차는 불법이라는 뜻이다. 2022년인 지금, 출퇴근길 광역버스에선 '불법'이 비일비재하게 이뤄지고 있다.

원인은 코로나19로 인한 '감차'에 있다. 광역버스 업체들은 코로나19 사태로 경영난에 빠지자 운행 대수를 줄였다. 소득 감소 등의 이유로 운수종사자 역시 많이 감소했는데, 광역버스 운행 대수를 늘리고 싶어도 버스 기사가 없어 못 늘리고 있다는 게 인천시와 버스 업체들의 설명이다.

인천시는 우선 급한 불부터 끄기로 했다. 오는 10월부터 12월까지 평일 출퇴근시간대에 한정해 광역버스 노선에 전세버스를 투입할 방침이다. 광역버스 업체들을 대상으로 '최소 1대 이상 증차'를 요구하겠다는 구상도 세웠는데, 이는 사실상 업체들의 의지에 달린 문제라 단기간에 증차가 이뤄지긴 어려울 것으로 보인다.

이들 대책은 말 그대로 임시방편일 뿐 근본적인 대책은 될 수 없다. 당장 오는 12월까지로 예정된 전세버스 투입이 끝난 이후의 대책 역시 명확하지 않다. 인천시 역시 이를 인지하고 국토부, 경기도 등과 수시로 만나며 다각도로 방안을 검토하고 있다고 했다.

광역버스 입석 문제는 단순히 불편한 것에서 그치지 않는다. 시민의 '안전'이 걸려있는 문제인 만큼 정부와 인천시, 그리고 광역버스 업체들 모두 책임감을 갖고 해결책을 마련할 수 있길 바란다.

/유진주 인천본사 정치부 기자 yoopearl@kyeongin.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