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 연구팀이 전 세계적으로 진행성 위암에서 복강경 수술이 표준치료법임을 입증했다.
아주대병원 등 국내 13개 의료기관과 외과의사 20여명으로 구성된 KLASS-02 연구팀은 진행성 위암에서 복강경 위아전절제술(위의 3분의2 절제 후 남은 위와 소장을 연결하는 수술)을 받은 492명과 개복 위아전절제술을 시행한 482명의 생존율을 비교했다. 그 결과 5년 생존율이 복강경 수술군의 경우 88.9%, 개복 수술군이 88.7%로 두 치료방법 간 차이가 없었다.
반면 수술결과를 판단하는 후기 합병증 발생률은 큰 차이를 보였다. 복강경 수술군이 6.5%, 개복 수술군이 11%로 나타났으며, 특히 복강경 수술군은 수술 후 가장 흔한 합병증인 장폐색과 상처부 문제가 적게 발생했다.
아주대병원 등 13곳 구성 'KLASS-02'
'개복' 비해 합병증인 장폐색 등 발생 적어
연구책임자인 한상욱 아주대병원 위장관외과 교수는 "이번 연구결과는 국내 13개 의료기관 다수의 외과 의사들이 10년 이상 노력해 얻은 결실"이라며 "세계적으로 진행성 위암에서 복강경 수술이 안전하고 효과적인 표준치료법으로 인정받았다"고 밝혔다.
이번 논문은 아주대병원 위장관외과 손상용, 허훈 교수가 공동 주저자로, 서울대병원 양한광 교수와 아주대병원 한상욱 교수가 공동 책임저자로 참여했다.
한편 연구결과는 지난 3월 미국 휴스턴에서 열린 국제위암학회 학술대회에서 최고 평점 초록으로 선정됐으며, SCI급 학술지인 미국의사협회 공식 학술지 JAMA Surgery 7월 온라인판에 게재됐다.
/구민주기자 kumj@kyeongin.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