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네스코 세계유산 '한국의 갯벌'에 인천 갯벌 등을 포함하는 절차를 2024년까지 완료해 세계유산위원회에 제출해야 하지만, 주민 수용성 문제에 발목이 잡혀 속도를 내지 못하고 있다. 인천 갯벌은 멸종위기종 물새 서식지로 생물 다양성이 뛰어나고, 국내에서 두 번째로 큰 규모를 가지고 있어서 보전 가치가 뛰어나다는 평가를 받는다.
인천 갯벌, 멸종위기종 철새 서식지

문화재청이 인천 갯벌을 주요 등재 대상지로 판단하는 이유는 멸종위기종 철새 서식지로써 풍부한 생물 다양성이다. 유네스코 세계유산위원회는 지난해 7월 충남·전북·전남 지역 갯벌을 한국의 갯벌로 등재하면서 추가 확대되는 지역이 갖춰야 할 요소로 '멸종위기종 철새 서식지'를 명시했다. 문화재청은 전 세계 물새 기착지로 가장 적합한 지역이 인천 갯벌이라고 보고 있다. 인천 영종도 일대 갯벌과 강화 갯벌에는 전 세계 6천여 마리 남은 멸종위기종 1급 저어새(천연기념물 205호) 개체 중 90% 이상이 찾아온다. 이밖에 두루미와 검은머리물떼새, 검은머리갈매기, 개꿩, 알락꼬리마도요, 노랑부리백로 등 수만 마리의 새가 인천 갯벌을 휴식처와 먹이터로 찾고 있다.

세계유산 등재 규제와 혜택은?
인천 갯벌이 한국의 갯벌로 등재되는 것에 반대하는 측은 보호지역 지정에 의한 규제와 조업권 침해 등을 주장한다. 세계유산으로 등재되기 위해서는 '습지보전법'에 따른 습지보호지역으로 지정돼야 해서 환경보전을 위한 개발행위 제한 등은 불가피하다. 그러나 별도 국제규약에 의해 추가 제한은 받지 않는다. 세계유산위원회는 유산 등재를 신청한 국가의 국내법이 유산을 보호하는 데 적합한지를 주요하게 심사하기 때문이다. 어민들의 조업에도 영향을 주지 않는다는 게 전문가 얘기다. 갯벌과 공유수면에만 적용되는 습지보전법은 어업 활동을 허용하고 있어서다. 인천지역 한국의 갯벌 2단계 후보지에 있는 연수구 송도와 옹진군 장봉도 갯벌은 이미 습지보호지역으로 지정돼 있어서 별도 지정 절차를 추진하지 않아도 된다.

인천 갯벌이 세계유산으로 등재되면 중앙부처 지원이 확대되고 관광객 증가 등 지역경제 활성화 효과가 있을 것으로 예상된다. 세계유산으로 등재된 유럽 북해 와덴해 갯벌은 연간 1천만명이 넘는 관광객으로 관광 수익과 고용 효과를 증대한다. 문경오 (재)한국의 갯벌 세계유산 등재 추진단 사무국장은 "일부 시민이 우려하는 개발 규제와 조업권 침해 등은 사실과 다른 만큼, 주민 수용성을 확보하는 과정에서 설명돼야 한다"며 "전 세계적으로 유네스코 세계유산이 가지는 상징적 가치가 크다는 점도 고려해야 한다"고 말했다.

하지만 해당 지역 어민 등 주민들을 설득하는 과정이 쉽지는 않을 것으로 예상된다. '세계유산 등재'는 '규제'라는 인식이 강하기 때문에 설득 작업에 많은 시간 등 노력을 기울여야 한다는 지적이 나온다.
문화재청 "등재 추진 작업 속도 내겠다"

문화재청은 내달 2단계 세계유산 등재 업무와 등재 이후 보전 관리를 맡을 추진기구를 새로 구성하는 등 관련 절차를 추진한다. 추진기구가 구성되면 곧바로 인천 갯벌을 중심으로 한 갯벌 환경과 생물종, 철새 분포 등을 연구하는 데 착수한다. 연구는 내년 상반기 마무리를 목표로 하는데, 이 기간 2단계 세계유산 대상지 면적과 규모 등을 확정하겠다는 게 문화재청 설명이다. 이어 세계유산 대상 지역 심층 연구, 주민 설명회, 습지보호지역 지정 지원 등을 거쳐 2024년 등재신청서를 제출할 계획이다. 한국의 갯벌 2단계 등재 여부를 결정하는 제48차 세계유산위원회는 2025년 열릴 것으로 예상되고 있다. 문화재청 관계자는 "인천은 한국의 갯벌 2단계 등재를 위한 핵심 지역"이라며 "지자체, 주민들과 적극적으로 협의하고 서둘러 관련 절차를 이행하겠다"고 말했다.


/박현주기자 phj@kyeongin.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