윤석열 대통령의 국정 수행 긍정평가가 20%대로 내려앉고, 국민의힘에서는 새 지도체제 논의가 새로운 쟁점이 되는 등 여권이 총체적 난맥상을 보이고 있다. 권성동 대표 직무대행 겸 원내대표가 노출했던 '내부총질 메시지'는 지난 주 금요일 배현진 최고위원의 사퇴선언으로 이어지고 오후에는 당 초선의원들이 비상대책위원회 체제 전환을 요구하기에 이르렀다. 이런 상황에서 리더십 부재라는 비판을 면치 못하고 있는 권 대행은 "지금은 좀 주춤하지만 윤 대통령이 지금까지 살아온 대로 쭉 밀고 나간다면(중략), 내년에는 (지지율이) 더 좋아질 것이라고 확신한다"고 말했다. 권 대행이 지금의 민심 이반에 대해 얼마나 안이한 생각을 하고 있는지 단적으로 보여주는 대목이다.

권 대행은 이미 리더십을 상실했다. 당내 기류는 대통령실 사적 채용 논란과 내부 총질 문자 파동 이후로 권 대행이 당을 이끌고 나가기에는 한계가 있다는 쪽으로 바뀌고 있고, 비대위 전환 요구 등 당 지도체제를 두고 본격적인 파열음이 울리기 시작한 것이다.

국민의힘의 비대위 구성 여부가 또 다른 분란을 일으킬 수 있다. 현재 당 대표가 '궐위'된 것이 아니고 '사고'이기 때문에 권 원내대표도 '권한'이 아닌 '직무'대행 직책이다. 현재 국민의힘 당규에 의하면 비대위 체제로의 전환은 당 대표가 영구적으로 직에 복귀할 가능성이 없는 '궐위' 상태이거나 최고위가 기능을 상실할 때 가능하다. 이는 최고위원들의 사퇴를 전제로 한다. 현재 9명의 최고위원 중 4명이 사퇴할 경우 의결 기능이 상실되기 때문에 비대위 전환의 조건이 충족된다는 일각의 주장도 있다.

설령 최고위의 과반이나 전원 사퇴로 비대위 구성이 가능하다고 의견이 모아진다 해도 현재의 당헌·당규상 비대위원장 임명 주체가 없는 것도 문제다. 현행 당규에 비대위원장은 전국위원회의 의결을 거쳐 당 대표 또는 당 대표 '권한'대행이 임명하게 되어 있기 때문이다. 이러한 이유들로 비대위 구성 과정에서 절차적 문제 등 당의 내홍이 깊어질 수도 있다.

여권이 정상궤도를 되찾기 위해서는 민생과 경제와는 무관한 당내 권력투쟁을 지양하고, 윤석열 대통령을 비롯한 여권 인사들도 민심이 무엇을 원하는지를 뼈아프게 성찰해야 한다. 그리고 윤 대통령이 직접 나서 이러한 혼란을 수습하고 국정운영 방식을 바꾸지 않으면 여권 전체가 더 큰 위기에 빠질 수 있음을 명심해야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