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1년 이맘때 인천시는 기후변화에 대응하기 위한 중장기 대책 수립에 나섰다. 지구 온난화 등의 영향으로 기상 이변이 더 심화할 가능성이 크다는 전문가들의 전망에 따른 것이다. 당시 인천시는 기후변화 적응대책 수립을 위한 태스크포스(TF)팀을 구성하고 대책 마련을 위한 활동에 착수했다. 기온과 해수 온도 상승에 따른 해수면 상승, 강우 일수와 강도의 증가에 의한 범람, 폭염과 열대야 증가 등에 대한 대책 수립을 TF팀의 목표로 삼았다. 이를 통해 인천시는 기후변화에 따른 중장기대책을 수립해 이듬해 시행했다.

'기후변화 적응대책'이 5개년 단위로 진행되어온 가운데, 최근 제3차 대책(2022~2026년)이 수립·발표됐다. 이에 따르면, 1960년부터 2019년까지 인천지역 평균 기온을 조사한 결과 59년 동안 1.3℃ 올랐다. 조사 기간 중 연평균 기온이 가장 높았던 때는 2016년으로 13.3℃였다. 가장 낮았던 1969년(10.4℃)보다 무려 2.9℃나 높았다. 특히 여름철에 비해 겨울철 평균 기온 상승 폭이 컸는데, 온실가스 증가에 따른 지구 온난화가 인천지역 기온 상승에 영향을 준 것으로 분석됐다.

현 추세대로 온실가스를 배출할 경우 50년 후인 2070년대 연평균 기온은 15.9℃에 이를 것으로 전망됐는데, 최근 가장 높았던 2016년보다 2.6℃ 상승한 수치이다. 평균 기온 1℃의 차이가 산림과 바다 등 생태계는 물론 기후에 큰 변화를 가져올 수 있는 만큼 온실가스 저감 정책과 함께 변화하는 기후에 적응하기 위한 정책이 절실하다. 인천시는 온실가스 배출량을 2018년 6천617만t에서 2040년엔 1천320만t으로 감축(약 80%)하겠다는 구상이다. 국제사회를 중심으로 강조되고 있는 '탄소 중립'을 위한 장기 전략 수립, 탄소 배출 감축 인지 예산제 시행, 탄소 다량 배출 분야 컨설팅, 에너지 전환 재정 지원 등의 사업도 추진해 기후 문제에 대응하겠다는 것이다.

취약계층일수록 기후위기에 따른 재난재해 위험에 그대로 노출되는 경우가 많다. 탄소 배출 등 온실가스 저감과 시민들의 기후위기 적응을 위한 시 차원의 노력은 시의적절하다. 최근 집중 호우 시기에 인천 곳곳에서의 범람을 목격했다. 올해 여름의 경우 바다의 만조 시기와 겹친 폭우로 더욱 심각한 피해를 안긴 가운데, '기후변화 적응대책' 이행은 이제 선택이 아닌 필수가 됐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