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시작점이 같았던 분당과 일산 집값이 30년 뒤인 지금 3배 가까이 벌어진 가운데(8월29일자 1·3면 보도=[한강이 가른 신도시·(上)] 분당과 일산, 두 도시 이야기), 판교로 대표되는 분당 안팎의 자족기능 강화가 주된 요인 중 하나인 것으로 분석된다.
고양시는 이와관련 자족 기능 강화를 위한 경제자유구역 지정 등이 필요하다면서 원희룡 국토교통부 장관에 지원을 요청했다.
이동환 고양시장은 지난 26일 원 장관을 만나 '베드타운' 상황에서 벗어나지 못하는 일산, 그리고 고양의 상황을 설명했다. 도시가 자족하는데 중요한 역할을 하는 기업, 대학 유치를 위한 경제·교육 인프라 등이 부족해 여전히 '베드타운' 오명을 벗지 못하고 있다는 게 이 시장의 주장이다.
이 때문에 고양시내에 경기북부 최초의 경제자유구역을 지정해, 기업 유치를 통한 자족기능을 강화해야 한다는 게 그의 입장이다. 경제자유구역 지정을 토대로 이른바 '고양판 실리콘밸리'를 만들어야 지금의 상황을 개선할 수 있다는 것이다.
또 마찬가지로 기업 유치를 위해 공업지역 물량을 확대 배정하고, 새로 조성되는 창릉신도시에는 판교테크노밸리 수준의 자족 시설을 확보해야 한다고 원 장관에게 건의했다.
이런 점이 경기 남·북부간의 균형발전을 이루는 방안이 될 수 있다는 게 이번 건의의 골자다.
원 장관은 "요구 사항을 잘 이해한다. 정부 차원에서 빠르고 적극적으로 현안들이 반영될 수 있도록 최대한 노력하겠다"고 밝혔다.
/김환기·강기정기자 kanggj@kyeongin.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