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기도 버스노선 92%가 속한 경기도버스노동조합협의회(이하 버스노조)가 29일 총파업 여부를 결정한 마지막 협상에 나서는 가운데, 도는 택시·전세버스 투입 등 '비상수속대책'을 마련해 버스노조 파업을 대비한다.
버스노조와 사용자 측인 경기도버스운송사업조합은 29일 오후 3시부터 경기지방노동위원회(이하 지노위) 중재로 2차 노동쟁의 조정회의를 진행한다. 협상 시한은 이날 자정까지로, 협상이 결렬될 경우 오는 30일 첫 차부터 총파업에 돌입한다.
도내 47개 버스업체 소속 노조원 1만5천여명, 버스 대수로는 도내 노선버스의 92%에 달하는 1만6천58대(노선 8천538대)가 이번 협상에 참여하고 있다. 파업 시 수원, 성남, 용인, 의정부, 고양 등 도내 26개 시·군이 영향을 받게 되며 시내버스는 물론 광역버스까지 포함돼 도민들의 출퇴근길 불편이 우려되된다.
버스노조는 준공영제 전면확대, 버스종사자 간 임금격차 해소 등을 요구하는데, 사측은 경영난을 이유로 수용이 어렵다는 입장을 고수하고 있다. 도는 지난 27일 시내버스 준공영제 전면시행을 발표했지만, 버스노조는 "언뜻 보면 지난 15일 시내버스 안정화 종합대책에서 한 발 더 나아간 것처럼 보이지만, 구체적인 실행계획은 빠져있고 전체 시·군이 참여한다는 보장이 없다"며 확실한 로드맵을 제시해야 한다고 촉구했다.
결국, 서로 팽팽한 입장 차만 확인하면서 총파업이 하루 앞으로 다가오면서 도와 시·군은 파업에 따른 도민 불편을 줄이기 위해 '비상수속대책'을 마련했다.
먼저 교통국장을 본부장으로 '경기도 비상수송대책본부'를 구성해 24시간 비상근무 체계를 가동하고 파업 기간 권역별 거점을 연계하는 전세(관용)버스를 최대 383대 투입한다. 이와 더불어 파업노선을 보완하기 위해 파업에 참여하지 않는 시내버스·마을버스 1천377대를 증차, 증회한다.
또 파업 영향을 받게 될 시·군의 택시 1만888대를 대상으로 출퇴근 및 심야시간 대 집중운행을 요청한다.
도 관계자는 "협상 전까지 버스 노사가 원만한 합의를 할 수 있도록 노력 중이다"면서도 "이날 자정 전후로 파업실행 여부가 확정되면 언론과 비상재난문자 등으로 도민들에게 관련 내용을 상세하게 알리고 시·군 등과 협조체계를 구축하겠다"고 했다.
버스노조와 사용자 측인 경기도버스운송사업조합은 29일 오후 3시부터 경기지방노동위원회(이하 지노위) 중재로 2차 노동쟁의 조정회의를 진행한다. 협상 시한은 이날 자정까지로, 협상이 결렬될 경우 오는 30일 첫 차부터 총파업에 돌입한다.
도내 47개 버스업체 소속 노조원 1만5천여명, 버스 대수로는 도내 노선버스의 92%에 달하는 1만6천58대(노선 8천538대)가 이번 협상에 참여하고 있다. 파업 시 수원, 성남, 용인, 의정부, 고양 등 도내 26개 시·군이 영향을 받게 되며 시내버스는 물론 광역버스까지 포함돼 도민들의 출퇴근길 불편이 우려되된다.
버스노조는 준공영제 전면확대, 버스종사자 간 임금격차 해소 등을 요구하는데, 사측은 경영난을 이유로 수용이 어렵다는 입장을 고수하고 있다. 도는 지난 27일 시내버스 준공영제 전면시행을 발표했지만, 버스노조는 "언뜻 보면 지난 15일 시내버스 안정화 종합대책에서 한 발 더 나아간 것처럼 보이지만, 구체적인 실행계획은 빠져있고 전체 시·군이 참여한다는 보장이 없다"며 확실한 로드맵을 제시해야 한다고 촉구했다.
결국, 서로 팽팽한 입장 차만 확인하면서 총파업이 하루 앞으로 다가오면서 도와 시·군은 파업에 따른 도민 불편을 줄이기 위해 '비상수속대책'을 마련했다.
먼저 교통국장을 본부장으로 '경기도 비상수송대책본부'를 구성해 24시간 비상근무 체계를 가동하고 파업 기간 권역별 거점을 연계하는 전세(관용)버스를 최대 383대 투입한다. 이와 더불어 파업노선을 보완하기 위해 파업에 참여하지 않는 시내버스·마을버스 1천377대를 증차, 증회한다.
또 파업 영향을 받게 될 시·군의 택시 1만888대를 대상으로 출퇴근 및 심야시간 대 집중운행을 요청한다.
도 관계자는 "협상 전까지 버스 노사가 원만한 합의를 할 수 있도록 노력 중이다"면서도 "이날 자정 전후로 파업실행 여부가 확정되면 언론과 비상재난문자 등으로 도민들에게 관련 내용을 상세하게 알리고 시·군 등과 협조체계를 구축하겠다"고 했다.
/신현정·이자현기자 god@kyeongin.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