노년의 삶을 파괴하는 질병, 치매에 대한 새로운 연구 결과가 이어지고 있다. 최근 연구에서 치매 발병 위험이 높아지는 치과적 요인, 시신경 손상과의 관련성 등이 밝혀졌다. 최근 연세대학교 치과대학 치주과학교실 차재국·박진영·고경아 교수 연구팀은 60세 이상 고령환자가 발치 뒤 임플란트 등의 치아 복구조치를 취하지 않고 방치할 경우 치매 발생 위험이 커진다고 밝혔다.

음식물을 씹는 능력이 떨어지면 뇌의 학습 기억과 기억력이 줄어들 수 있는 데, 이는 음식물 영양소가 체내 흡수가 잘 안 되는 문제와 만성 치주염 등이 중추신경계 손상에 영향을 줄 수 있기 때문으로 알려져 있다.

그럼에도 치아 상실과 치매 발병의 상관관계가 명확하게 확인되지 않았고, 연구팀은 2014년부터 2020년 중 연세대 치과대학병원에서 진료받은 이력이 있는 60세 이상의 환자 488명(치매군 122명·대조군 366명)을 대상으로 치아 상실과 치매 발생의 상관관계를 조사했다.

두 시험 군의 저작능력을 비교 평가하기 위해 소실 치아 개수와 치아 복구조치 비율 등을 따져본 결과 치매군에서 감소한 평균 치아 개수는 6.25개로 대조군(4.53개)보다 많았으며, 발치 뒤 복구하지 않고 치아의 빈 곳을 그대로 방치한 비율도 치매군에서 높았다.

차재국 교수는 "저작능력의 저하와 치매 발병의 상관관계를 보면 임플란트와 보철 치료로 저작능력을 유지하는 것이 치매 예방에 중요하다"고 말했다.

해외에서는 정상 안압에서 발생한 녹내장이 알츠하이머 치매 위험과 연관이 있다는 연구결과가 나왔다. 대만 타이중 재향군인 병원 안과 전문의 천유옌 교수 연구팀이 전국 건강보험 연구 데이터베이스(2001~2013년) 자료를 분석한 결과 이같이 나타났다고 메디컬 익스프레스가 지난 3일 보도했다.

정상 안압 녹내장은 환자의 안압이 정상범위 안에 있는데도 시신경에 지속적인 녹내장성 손상이 진행되는 경우다.

연구팀은 정상 안압 녹내장 환자 1만5천317명(평균연령 62세)과 연령, 성별을 매치시킨 대조군 6만1천268명의 치매 발생률을 비교한 결과, 정상 안압 녹내장 환자는 녹내장이 없는 사람보다 치매 위험이 52%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때문에 정상 안압 녹내장 환자는 치매 검사를 받아볼 필요가 있다고 연구팀은 권고했다.

/김성주기자 ksj@kyeongin.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