장애인들이 전동 휠체어와 같은 장애인 보조장비기구를 수리하는 공공 센터를 이용하는 데 불편함을 겪고 있다. 행정 절차가 까다로워 수리가 지연되며, 지원되는 수리 비용이 부족하기 때문이다.
장애인 보조장비기구 수리센터는 신체 제약을 가진 장애인을 위한 출장 방문 수리 기관으로, 주로 전동휠체어, 전동스쿠터, 수동휠체어 바퀴를 수리하고 배터리를 교체한다. 공공 수리센터는 무료로 또는 저렴하게 이용할 수 있어 장애인들이 많이 찾지만, 장애인들이 편히 이용하지 못하는 실정이다.
전동휠체어·스쿠터 출장 수리기관
무료거나 비용 저렴해 많이 찾지만
행정 절차 까다로워 지연되기 일쑤
가평군 보조장비기구 수리사업소는 이용할 때 주민센터를 통해 신청해야 한다. 수리센터가 아닌 사업소이기 때문이다. 수리를 원하는 장애인과 일대일로 소통하는 수리센터와 달리, 사업소는 장애인이 행정복지센터에 수리 신청을 하는 게 원칙이다. 이에 수리가 지연되면 그 기간 이동을 못 하는 장애인도 생겨난다.
가평에 거주하는 중증 뇌병변 장애인 이모(60)씨는 "올해만 네 번 전동 휠체어 수리를 받았다. 하지만 이용할 때마다 수리 기간은 대체로 4일에서 7일 정도가 걸렸다. 그동안 이동할 수가 없어서 집에만 있었다"고 토로했다.
지자체별로 차이가 있지만 기초수급생활자, 차상위계층에 속한 장애인에게 1년에 10만원에서 30만원 정도 수리 비용이 지원된다. 이를 통해 장애인은 휠체어 타이어 교체부터 라이트, 전동 브레이크 등의 부품을 수리한다.
군포시는 수리비 지원 전혀 안해줘
장애인 단체 "공평한 이동권" 촉구
하지만 군포시는 이러한 수리 비용이 전혀 지원되지 않는 상황이다. 이에 군포시에 거주하는 장애인은 본인이 수리 비용을 부담하고 있다. 타이어 교체는 8천원, 발판 수리는 1만원, 라이트 교체는 5만원 선이다. 전동 휠체어 배터리의 경우 정부에서 16만원을 지원하지만, 배터리가 27만원에서 40만원 정도라 10여만원은 부담해야 한다.
군포시 장애인자립생활센터의 보장구수리센터 관계자는 "다른 지자체와 달리 장애인분들이 비용을 좀 더 내는 편이다. 아무래도 모든 수리 비용을 받을 수 없어 부품 원가만 받고 있다"고 말했다. 장애인 단체는 공공 수리센터를 늘리고 예산을 확대해야 한다고 말한다. 도내 장애인 모두가 공평하게 이동권을 누릴 수 있어야 한다는 이유에서다.
권달주 경기장애인차별철폐연대 대표는 "보조장비기구는 장애인의 신체 일부이다. 모든 장애인이 이동에 불편함이 없게 정부와 지자체가 적극적으로 나설 필요가 있다"고 했다.
/김동한기자 dong@kyeongin.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