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교차가 큰 환절기에는 혈관 탄력이 떨어진 상태에서 발생할 수 있는 하지정맥류 등 혈관질환을 주의해야 한다.
한국건강관리협회 경기도지부는 1일 하지정맥류는 기온에 민감하게 반응해 혈관 수축과 확장이 반복돼 판막에 무리를 줄 수 있기 때문에 환절기에 더 악화되지 않도록 주의해야 한다고 권고했다. 정맥류는 정맥 속 판막의 손상으로 혈액이 역류하는 질환이다.
서거나 걷는 자세가 하반신 정맥에 압력을 증가시켜 주로 종아리 뒤쪽이나 다리의 안쪽에서 정맥류가 발생하는 것을 하지정맥류라고 한다. 노화, 과체중, 장시간 서있는 자세는 정맥류를 유발하거나 악화시킬 수 있다. 또 심부정맥 혈전증과 관통정맥의 역류로 인해 2차적 정맥류가 발생할 수 있다.
초기에는 종아리 부종, 다리 저림, 경련성 통증 등이 생긴다. 특히 정맥 확장으로 파란색 또는 보라색의 정맥이 거미줄 모양으로 나타난다. 악화되면 만성적 하지 통증이나 부종, 피부 내 색소침착, 피부궤양 등의 다른 증상으로 발전한다.
정맥류는 초음파로 정맥의 혈류를 검사해 혈관의 정확한 위치와 혈류 방향을 확인하는 과정을 거친다. 또 하지에서 잘 발생하는 심부 정맥 혈전을 찾아 폐색전증을 유발하는 것을 막을 수 있다.
하지정맥류의 치료에는 압박치료, 경화요법, 수술, 레이저 또는 고주파를 이용하는 방법이 있다. 압박치료는 정맥류용 압박 스타킹을 착용하는 것으로, 경화요법이나 수술적 치료 이후에 보조적인 치료로 시행한다.
경화요법은 정맥류에 경화제라는 정맥을 폐쇄시킬 수 있는 주사를 주입하는 방법으로 마취나 입원 없이 시행되는 효과적인 치료다. 치료 직후 가장 확실하게 효과를 볼 수 있는 것은 수술적 방법을 통해 정맥류를 제거하는 것이다.
건협 경기도지부는 "아직 정맥류를 완벽하게 예방하는 법은 없다"며 "꽉 끼는 옷을 피하는 등 일상에서 정맥류 예방을 위한 실천을 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말했다.
/김성주기자 ksj@kyeongin.com
환절기 판막에 무리가는 '하지정맥류 주의보'
일교차 커 혈관 수축·확장 꽉 끼는 옷 삼가
입력 2022-11-01 19:01
수정 2022-11-01 19:38
지면 아이콘
지면
ⓘ
2022-11-02 15면
-
글자크기 설정
글자크기 설정 시 다른 기사의 본문도
동일하게 적용됩니다.- 가
- 가
- 가
- 가
- 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