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천지역 생활안전분야 '지역안전지수'가 지난 4년간 하위권을 벗어나지 못하는 것으로 파악됐다.
지역안전지수는 지방자치단체의 안전관리 책임성을 강화하고 자율적 개선을 유도하기 위해 행정안전부가 매년 발표하고 있다. 5개 등급으로 나누는데, 1등급에 가까울수록 안전 수준이 상대적으로 높은 것을 의미한다. 특별·광역시와 도가 구분돼 상대평가로 이뤄진다.
정부 발표 지역안전지수 '4등급'
등급 평균 낮은 건 세종시 유일
6일 인천시와 인천연구원 등에 따르면 2018년부터 2021년까지 4년간 인천시의 생활안전분야 지역안전지수는 4등급이었다. 도시규모가 비슷하다고 할 수 있는 부산시는 2018~2020년 1등급을 기록하다 2021년 3등급을 받았지만, 인천시보다는 높은 등급이다. 이 기간 인천시보다 등급 평균이 낮은 건 세종시뿐이었다. → 표 참조
생활안전 분야는 인구 1만명당 생활안전 관련 구급 건수(위해지표·50%), 유치원·초등학생·고령자 등 재난약자 수, 건설업 종사자 수, 제조업 종사자 수(이상 취약지표·20%) 등을 평가한다. 인구 1만명당 안전신문고 신고 건수, 주거·상업·공업지역 내 AED(자동심장충격기) 설치 대수(이상 경감지표·30%)도 평가항목에 포함된다.
인천시는 가장 큰 비중을 차지하는 위해지표 '인구 1만명당 생활안전 관련 구급 건수'가 다른 지역에 비해 약 14~15% 많은 것으로 분석됐다. 넘어지거나 다쳐 구급차를 이용하는 경우가 그만큼 많다는 것이다.
인천의 구급 건수는 지난해 지수 발표 기준 9천120여건으로 조사됐다. 8천280건(2018년 발표), 8천595건(2019년 발표), 8천645건(2020년 발표) 등 매년 증가 추세를 보이고 있다. 인천은 안전신문고 신고 건수와 면적당 AED 설치 대수 등 경감지표도 다른 지역 평균에 미치지 못하는 것으로 파악됐다.
타지역보다 구급건수 15% 많아
면적당 AED 설치 대수도 부족
인천시는 생활안전 분야 지역안전지수 등급 개선을 위해 행안부 컨설팅, 지표 개선 노력 등을 추진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안전도시 구축을 위한 '인천시 안전도시 기본계획'을 12월 중 수립하고, 이를 바탕으로 지역 특성에 맞는 실질적 안전대책을 추진하겠다는 방침이다.
인천시 관계자는 "지속적인 지표 개선 노력과 함께 지역의 안전도를 높일 수 있는 다양한 방안을 강구하고 있다"며 "안전도시 인천을 만들 수 있도록 노력하겠다"고 했다.
이어 "정부의 생활안전 분야 지역안전지수 산출 기준이 지역 특성을 반영하지 못하는 등 한계가 있다는 지적도 있다"며 "이를 개선하기 위한 노력도 함께 추진해 나가겠다"고 했다.
최근 이태원 압사 참사가 발생한 서울의 2018~2021년 생활안전분야 지역안전지수는 1~2등급이었다. 높은 등급이 반드시 대형 인명사고 예방으로 이어지는 것은 아니라는 해석이 가능하다. 지하철 등 많은 인원이 모이는 곳의 위험 요인을 제거하고 안전사고에 즉각 대응할 수 있는 시스템을 구축해야 한다는 지적이 나온다. → 관련기사 3면(지역 구급·구조대원들 "환경·공간적 위험 요인들 많다")
/이현준기자 uplhj@kyeongin.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