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이태원 참사 이후 심폐소생술(CPR)에 대한 중요성이 다시 주목받고 있지만, 우리나라 일반인들의 CPR 시행률이 다른 주요국보다 떨어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8일 국회 보건복지위원회 남인순(민주당) 의원이 질병관리청에서 제출받은 자료에 따르면 한국의 일반인 CPR 시행률은 2016년 16.8%에서 2017년 21.0%, 2018년 23.5%, 2019년 24.7%, 2020년 26.4%로 꾸준히 증가하는 추세를 보이고 있다.
일반인 심폐소생술 시행률은 병원 도착 전 의료인이나 구급대원을 제외하고 일반인이 CPR을 시행한 급성심정지 환자의 비율이다.
한국의 일반인 CPR 시행률이 증가하고 있으나, 영국 70.0%, 미국 40.2%(2020년 기준)에 비교하면 크게 낮은 수치다. 일본은 2013~2015년 50.2%로 나타났다.
급성심정지 환자의 생존퇴원율을 한국이 7.5%로 미국 9.0%, 영국 8.3%에 비해 낮은 원인 중 하나로 보인다.
/김성주기자 ksj@kyeongin.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