건설산업이 시장경제에 미치는 파급효과는 그 어느 산업보다 막강하다. 각종 사업을 통해 생산유발 효과를 가져오는 것은 물론 부가가치 창출에 일자리 창출로까지 이어진다. 건설산업을 움직이는 어느 한 축이라도 삐걱이면 시장 전체가 휘청이는 것도 이 때문이다.

올해 시장경제를 좌지우지한 화두는 단연 '금리'이다. 한국은행이 금융통화위원회 회의를 열었다 하면 금리 인상이 단행됐고, 미국 연방준비제도가 연방공개시장위원회를 여는 날이면 언제 우리가 이렇게까지 관심을 가졌나 할 만큼 이목이 집중됐다. 금리는 계속 치솟는 상황이고, 이는 부동산 경기로까지 이어져 고공행진하던 부동산시장마저 싸늘하게 얼어붙었다. 수치로도 드러나는데 경기도 아파트 매수심리는 10년 만에 최저로 떨어졌고, 도내 아파트 가격은 27주째 하락 중이다.

부동산시장 침체가 건설산업을 직격하고 있다. 보통 건설사들은 금융권 PF(프로젝트 파이낸싱)대출을 통해 사업을 완료한 뒤, 분양 뒤 그 수익으로 대출을 상환해왔다. 부동산경기가 좋을 땐 대출 갚는 데 문제가 없었지만 미분양이 속출하는 상황에선 얘기가 달라진다. 미분양 공포가 확산되는 분위기 속에 금융권에서 몸을 사리기 시작했고, 건설사들의 주요 자금줄이었던 PF대출이 사실상 막히자 주요 건설사업들도 위축되고 있다. 공사를 늦추거나 사정이 더 여의치 않은 경우 중단을 택하는 건설사들이 속출하고 있다.

PF대출이 뇌관이 돼 건설사들의 줄도산까지 우려되는 상황이 되자 정부도 나섰다. 최근 5조원 규모의 PF대출보증상품을 신설하는 등 대책을 내놓은 상황이다. 그러나 시장은 시큰둥하고, 역부족이란 의견도 나온다. 근본적 대책이 아닌 만큼 큰 효과를 기대하기 어렵다는 것이다. 전문가들은 사업성이 좋아져서 자금이 돌아가게 해야지 무작정 돈으로 메울 문제가 아니라고 한다. 이번 대책조차도 결국은 신용이 좋은 시행사나 건설사만 혜택을 보는 구조라고 지적하기도 했다.

신규 PF대출에 숨통을 틔워주는 것도 시급하지만 이미 대출이 실행된 사업들도 어려움이 커지고 있는 만큼 부실이나 도산으로 이어지지 않도록 기존 대출금리를 낮춰주거나 고정금리로 바꿔주는 등 관리 차원의 지원이 필요하다는 게 중론이다. 건설업체들이 예뻐서가 아니다. 건설산업과 연동된 전후방 경제환경의 안정을 위해서다. 정부의 확실한 대응이 시급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