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27차 유엔기후변화협약 당사국총회(COP27)가 기후변화로 인한 개발도상국의 '손실과 피해'(Loss and Damage) 대응 기금을 설립하기로 합의하면서, 인천 송도국제도시에 본부를 둔 유엔 산하 녹색기후기금(GCF)의 위상과 기능 재정립이 불가피할 전망이다.
이집트 샤름 엘 셰이크에서 지난달 31일부터 열린 COP27이 애초 폐막일(11월18일)을 이틀 넘긴 이달 20일 최종 합의문 '샤름 엘 셰이크 이행계획'을 채택하고 막을 내렸다. COP27에는 세계 198개 당사국과 산업계, 시민단체 등 3만여명이 참석했다. 한국은 한화진 환경부 장관을 수석대표로 환경부, 외교부, 기획재정부 등 각 부처가 정부대표단을 구성해 협상에 임했다.
이번 COP27은 선진국과 개도국이 폐막 예정일을 이틀이나 넘기는 치열한 협상 끝에 최대 쟁점인 '손실과 피해' 대응을 전담하는 별도의 기금을 설립하기로 합의했다.
개도국은 총회 시작부터 '손실과 피해' 대응을 전담하는 재정기구를 신설해야 한다고 강하게 주장했으나, 선진국들은 GCF 등 이미 존재하는 기구의 기능을 강화하자는 입장으로 맞받았다.
선진국들은 '공여'를 방점에 둔 GCF보다 더 막대한 자금과 함께 기후변화 유발자라는 무한 책임까지 져야 하는 '손실과 피해' 대응 기금 설립에 반대했으나, 결국 개도국 의견을 반영했다.
폐막일 이틀 넘긴끝 설립안 채택… 치열한 협상끝 개도국 의견 반영
GCF 위상·기능 재정립 불가피한 상황… 본부도시 인천도 예의주시
로이터통신은 20일 COP27 분석기사에서 "새로운 기금은 개발은행, 화석연료, 항공사 등에 대한 세금과 같은 혁신적 재원을 포함한 훨씬 더 광범위한 재원으로부터 자금을 모을 것이기 때문에 다른 유엔이 지원하는 기후기금과는 다를 것"이라고 전망했다.
국제사회가 COP27에서 '손실과 피해' 대응 기금에 합의함에 따라 지난 2013년 개발도상국의 온실가스 감축과 기후변화 적응 지원을 목적으로 송도국제도시에 설립된 세계 최대 기후변화 기금인 GCF는 장기적으로 위상과 기능을 재정립해야 할 것으로 보인다.
선진국과 개도국 이사 48명으로 구성된 GCF는 1년에 3~4회 이사회를 개최하며 현재까지 개도국을 대상으로 총 209건의 기후변화 대응 사업을 추진해 114억 달러를 지원했다. GCF는 2010년 멕시코 칸쿤에서 열린 COP16에서 당사국 합의로 설립됐는데, '손실과 피해' 대응 기금은 GCF와 기능이 중복되면서도 더 적극적인 개념이다.
COP27에 참석한 야닉 글레마렉(Yannick Glemarec) GCF 사무총장은 지난 18일 로이터통신과 가진 인터뷰에서 "지금까지 투입된 110억 달러의 자원 중 약 30%를 손실과 피해를 최소화하기 위한 활동에 이미 사용하고 있다"고 했다.
GCF 본부도시인 인천이 이번 COP27 합의에 주목할 필요가 있다. 송도에는 GCF를 비롯한 15개 국제기구가 있으며, G타워에는 GCF 직원 320여 명이 근무하고 있다. 인천시는 G타워 인근에 GCF 본부와 관련 국제기구, 단체, 연구소 등을 집적화하는 'GCF 콤플렉스' 건립을 추진하고 있기도 하다.
앞으로 국제사회의 기후변화와 '손실과 피해' 대응 논의에 따라 GCF 위상이 축소될 수도 있고, 오히려 기능을 재편해 강화될 수도 있는 상황이다.
인천시 관계자는 "인천시도 GCF와 함께 COP27에 참석하는 등 협력 관계를 유지하고 있고, 앞으로도 지속 발전하도록 지원할 것"이라고 말했다.
/박경호기자 pkhh@kyeongin.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