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2112901001154800052201

연말연시가 되면 빼놓을 수 없는 것이 술자리다. 올해는 특히 사회적 거리두기 해제로 인해 어느 때보다 술자리 등 사적 모임이 증가할 것으로 보인다. 술을 권하는 문화가 많이 사라졌다고 해도 술자리를 함께하다 보면 평소보다 더 많은 술을 마시게 된다. 또 연말연시 분위기에 휩쓸려 주량을 넘은 과음, 폭음하기가 쉽다.

한국건강관리협회 경기도지부는 최근 알코올은 1군 발암물질에 지정될 만큼 인체에 유해하기 때문에 '이번 한 번 쯤은 괜찮겠지'라는 생각으로 분위기에 휩쓸린 음주를 하지 말아야 한다고 권고했다.

잦은 음주와 과음은 정신적, 신체적으로 부정적인 영향을 끼친다. 음주 자체가 고혈압이나, 암을 유발할 수 있으며 과도한 음주는 간질환, 관상동맥, 심장질환 및 뇌졸중의 위험을 높인다.

특히 음주는 췌장염의 주요한 위험인자이며 알코올성 지방간은 만성적인 음주에 의해 직접적으로 간이 손상된 상태이기 때문에 반드시 금주 및 절주가 필요하다. 그 외에도 영양 결핍과 수면장애를 유발하고 우울감 및 자살률 증가와 관계가 있어 신체에 부정적 영향을 끼친다.

직접적인 원인이라고 할 수는 없지만, 일부 자각 없는 운전자들이 음주운전을 하는 경우도 적지 않아 심각한 사회적 문제를 일으키기도 한다.

연말연시 모임 분위기 휩쓸려 과·폭음 쉬워
빈속 마시지 않고·당당하게 거절하기등 제시
숙취 해소용 술, 알코올 의존증·위궤양 '경고'


건강을 지키기 위해서는 잘못된 음주 습관을 바로잡는 것이 중요하다.

건협 경기도지부는 생활 속 음주관리 수칙으로 ▲술자리를 되도록 피하고 술을 강요하지 않기 ▲한 잔만 마셔도 얼굴이 빨개지는 사람은 되도록 마시지 않기 ▲알코올 농도가 급격히 상승하는 '원샷'하지 않기 ▲빈속에 마시지 않고 물을 자주 마시기 ▲금주 요일을 스스로 정하고 음주 후에는 적어도 3일 동안 금주하기 ▲당당하게 술 거절하기 등을 들고 있다.

무엇보다 이른바 '해장술'이라고 하는 음주 후 숙취를 해소하기 위한 술의 심각성을 알리고 있다.

건협 경기도지부 관계자는 "해장술은 위장 운동을 방해하게 되면서 심하면 위궤양이 나타날 수 있으며 습관적으로 해장술을 찾는 경우 알코올 의존증이 높아지며 중독으로 진행될 수 있다는 것"이라며 "음주 후에는 3일 정도 간격을 둬 간이 회복할 수 있도록 해야 하며 수분을 수시로 섭취, 알코올의 체내 흡수를 지연시키면서 수분 부족을 방지하도록 한다"고 말했다.

/김성주기자 ksj@kyeongin.com, 일러스트/박성현기자 pssh0911@kyeongin.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