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천시가 9·15 인천상륙작전 기념행사를 국가적 국제행사로 확대하고 관련 인프라를 조성하는 계획 구상을 구체화하고 있다. 인천시는 내년부터 인천상륙작전 기념행사를 대규모로 개최하고, 중장기적으로 참전국 정상들이 참석하는 국제행사로 확대할 계획이라고 30일 밝혔다. 그런데 이 행사는 해묵은 역사적 상처와 외교문제 등의 우려도 적지 않다.

먼저 월미도의 민간인 피해자들의 입장을 고려해야 한다. 인천상륙작전은 6·25 당시 풍전등화와 같은 전세를 일거에 반전시킨 역사적 사건임이 분명하지만, 인천시가지의 랜드마크가 대부분 파괴되고 민간인 사상자도 컸다. 상륙작전 직전의 미군의 월미도 폭격으로 월미도 원주민 100여명의 민간인 희생자가 발생했으며, 살아남은 주민들은 집과 고향을 잃은 실향민 신세가 됐다. 인천과 공공·민간차원의 교류가 활발하고, 인천항 등 경제적으로도 긴밀하게 연결된 중국 쪽에서 인천상륙작전의 국제행사 격상을 불편하게 받아들일 수 있다는 시각도 있다. 기념사업을 기획하는 과정에서 외교문제에 관한 대응방안도 고려해야 한다는 것이다.

인천상륙작전 50주년 행사를 둘러싼 1999년의 논란도 되새겨 볼 대목이다. 당시 인천시는 인천상륙작전 50주년을 앞두고 정부와 국방부로부터 10억원의 국고지원을 포함한 17억원의 예산을 확보하여 국제규모의 상륙작전 행사 기본계획을 세웠다. 행사내용은 참전용사 초청 행사, 상륙작전 재현 행사, 시가지 퍼레이드, 상륙작전 상황극, 마라톤, 록페스티벌 등을 펼치는 것이었다. 당시 시의회는 인천상륙작전 50주년 행사가 동족상잔의 비극을 축제의 소재로 활용하는 것이라고 보아 제동을 걸었다. 문화계를 비롯한 시민단체도 대부분 득보다 실이 많다는 반대의견을 냈다. 결국 시는 '춤'을 주제로 한 '인천세계춤축제'를 개최하는 것으로 방향을 선회한 바 있다.

긴장이 고조되고 있는 한반도의 정세도 고려해야 한다. 인천은 군사적 충돌의 위험이 가장 높은 해상접경지대이다. 서해 5도 인근 해역에서는 두 차례에 걸친 연평해전, 대청해전, 천안함 피격사건이 발생했으며 12년 전에 벌어진 연평도 포격전이 아직도 생생한 악몽이다. 인천시는 '분쟁의 바다' 혹은 '한반도의 화약고'라는 수식어로 불리는 인천을 한반도 평화를 관리하는 견인차로 자리매김해야 하기 때문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