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가 추산한 화물연대의 주말 총파업 집회 참여 인원이 감소세를 보였다. 국토부는 4일 화물연대 조합원 2천900명이 전국 130여 곳에서 집회를 벌이거나 대기할 예정인 것으로 추산했다. 일주일 전인 지난 일요일 정부 추산 집회 참여 인원(4천300명)보다 32%가량 줄었다.
정부는 시멘트 분야에 대한 업무개시명령 이후, 비조합원들 사이에 복귀 움직임이 두드러지게 나타났고 일부 조합원까지 업무로 돌아와 물동량이 회복 추세를 보인다고 판단한다. 컨테이너 반출입량도 다시 늘고 있는 것으로 분석된다. 하지만 단순 참여 규모로 파업 상황을 예단하기는 쉽지 않다는 게 업계 목소리다.
'업무개시명령' 비조합원 복귀추세
정유 피해 늘어 품절주유소는 74곳
실제 정유 분야 피해는 늘고 있다. 지난 오후 2시 기준으로 기름이 동난 주유소는 전국에서 74곳으로 늘었다. 서울이 31곳으로 가장 많고 경기 15곳에서 기름이 품절됐다. 한편 화물연대는 정부의 압박에 굴하지 않고 파업을 이어가겠다고 강조했다.
화물연대는 이날 "정부가 위법한 업무개시명령을 철회하고, 헌법상 기본권과 국제기구 협약을 침해하지 않는 방식으로 행정권 발동이 이뤄질 수 있도록 국가인권위가 나서줄 것을 요청한다"고 했다. → 관련기사 12면(휘발유 넘어선 경유값… 올 겨울 더 벌어지나)
/김태성기자 mrkim@kyeongin.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