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천시가 2045년까지 인천 지역 탄소중립(2018년 대비 탄소 배출 제로)을 달성하겠다고 선언했다. 이는 정부의 탄소 중립 실현 목표(2050년)보다 5년이나 앞당긴 것이다. 시는 2045 탄소 중립 비전 선언문에서 "당면한 기후위기에 인류의 생존과 안전을 도모하고, 지구 생태계의 다양성을 보전하는 글로벌 탄소 중립 패러다임을 선도해 나가겠다"고 했다. 그러면서 저탄소 경제·생태도시 조성, 맞춤형 시민 기후 행동 확대, 글로벌 기후 협력체계 활성화, 기후위기로부터 안전한 도시 조성 등을 약속했다.

시는 2030년까지 18조5천억원을 투자해 수소클러스터, 연료전지, 해상풍력단지 등 신재생 에너지 비율을 11.2%에서 35.7%로 높이기로 했다. 또 2030년까지 모든 시내버스를 수소차로 전환하는 등 친환경 교통시대를 만들기로 했다. 탄소중립은 인류의 생존을 위한 국제사회 흐름으로, 반드시 지켜야 할 약속이다. 특히 인천 시민의 삶의 질 향상은 물론이고, 산업단지와 공장밀집지역이 많은 탓에 '회색 도시'라는 부정적 이미지를 가진 인천 입장에선 탄소 중립 실현 노력이 더욱 요구된다. 또한, 시는 '시민이 행복한 세계 초일류 국제도시'를 지향하고 있지 않은가. 이를 위해선 환경친화적 정책을 펼쳐야 하며 국제사회에서 책임과 역할을 다해야 한다.

문제는 시 노력만으로 탄소중립도시가 될 수 없다는 것이다. 지역 내 신재생 에너지 비율이 높아지도록 정부의 행정적·재정적 지원이 뒷받침돼야 한다. 인천에서 공장을 가동하는 기업 등 산업계의 협조와 쇄신이 필요하다. 시민들도 탄소 중립에 적극 참여해야 한다. 더욱이 수소클러스터, 연료전지, 해상풍력단지 조성사업은 주민 반발이 있는 상태다.

영흥화력 문제를 꺼내지 않을 수 없다. 시와 지역사회는 '영흥화력 조기 폐쇄'(영흥화력 1·2호기 2030년 폐쇄 후 LNG 전환)를 정부에 요구하고 있다. 2019년 기준 인천 탄소 배출량의 61.4%는 발전부문으로, 이 중 영흥화력 비중이 48%에 달한다. 그럼에도 시 요구는 조만간 확정될 예정인 제10차 전력수급 기본계획에 반영되지 않았다.

인천시는 산업계와 시민의 적극적인 동참을 이끌어내고, 정부는 영흥화력 조기 폐쇄 등 탄소 중립 계획 이행을 지원해야 한다. 공공갈등 해소 능력을 키워 신재생 에너지와 관련한 주민 수용성도 확보해야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