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akaoTalk_20221207_150102529
7일 한국토지주택공사 경기지역본부와 토지주택연구원이 공동 주최한 '경기발전 3.5, 이제는 삶의 질이다' 세미나에서 참석자들이 기념촬영을 하고 있다. 2022.12.7 /강기정기자 kanggj@kyeongin.com

'신도시 조성'과 '재정비'가 경기도에서 동시에 진행되고 있는 가운데, 주변 도시와 연계해 구축해야 한다는 지적이 제기됐다. 이는 도시 개발과 함께 도내 곳곳에서 양극화 문제가 나타나는 점과 맞물려, 경기도 전반의 발전 측면에서도 중요하다는 제언이다.

3기 신도시 조성과 1기 신도시 재정비를 동시에 담당하고 있는 한국토지주택공사(LH) 경기지역본부가 7일 서울 강남구에 소재한 섬유센터에서 LH 토지개발연구원과 함께 '경기 발전 3.5, 이제는 삶의 질이다'라는 주제로 세미나를 개최했다.

경기도 부동산의 현 상황을 짚어보고 신도시 개발에 따른 경기도 변화상을 살펴봄으로써, 현재 진행 중인 3기 신도시 조성과 1기 신도시 재정비 등에 대한 과제를 제시하기 위한 자리였다.

경기도가 전국 인구 최다지역으로 거듭나고, 전국에서 가장 젊은 지역 중 한 곳이 되도록 하는데 신도시 개발이 상당부분 영향을 미쳤다는 게 토지주택연구원 측 분석이다. 1기 신도시 조성으로 서울지역 인구가 다수 유입됐고, 2기 신도시가 만들어지면서 경기도 인구가 재편되는 효과가 있었다는 것이다.

특히 신도시를 중심으로 매년 청년인구 4만명이 유입돼, 지난해 기준 경기도민의 평균 연령은 41.9세, 전국 17개 시·도 중 세 번째로 낮은 상황이 됐다. 청년 인구의 꾸준한 유입은 경기도에 경제 활력을 불어넣는데도 크게 기여하고 있다.

3기 조성·1기 재정비 동시 진행중
1~2기 청년유입·경제활성화 효과
신도시 외 집값 ↑… 도내 격차 커


그러나 동시에 이는 신도시 외 지역과의 양극화를 촉진하는 요인이 되기도 했다. 도내 지역 전반의 집값을 높이는 요인이 되기도 했는데, 지난해 기준 경기도에서 전용 84㎡ 아파트를 구매하려면 걸리는 기간을 산출해본 결과, 도내 지역간 격차가 매우 큰 편이다. 대체로 신도시가 조성된 지역이 오래 걸리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 때문에 신도시 조성 및 재정비 과정에서 주변 지역과의 연계 문제를 염두에 둬야 한다는 게 토지주택연구원의 제언이다.

1기 신도시 재정비 과정에서 사업성 확보가 어려운 인근 구도심의 재개발 사업과 결합해 개발을 추진하는 방안 등이 제기됐다. 1기 신도시 재정비 과정에서 대규모 인구 이주가 불가피한데, 순환용 이주단지 조성을 구도심 재개발 사업과 연계하는 방식 등이다.

3기 신도시 역시 인근에 조성된 기존 신도시 등과 연계해 광역 경제권을 형성하는 방식으로 조성해야 한다는 의견이 나왔다. 이를테면 3기 신도시인 고양 창릉지구를 중심으로 1기 신도시인 고양 일산신도시와 2기 신도시인 파주 운정신도시 등을 비롯해 고양·파주지역 일원에 하나의 광역 경제권을 구축하는 것이다.

그러면서 1기 신도시인 분당과 2기 신도시인 판교간 시너지 효과 창출을 앞선 사례로 거론했다.

이날 세미나에서 권세연 경기지역본부장은 "경기도는 정부 주택 공급의 주 무대다. 재정비가 논의되고 있는 1기 신도시부터 정착 단계인 2기 신도시, 설계가 진행 중인 3기 신도시까지 모두 품고 있다. 신구의 조화 속에서 경기도 전반이 상생하고 균형발전하기 위한 고민과 논의가 필요한 시점"이라며 "그런 의미에서 이번 세미나가 의미가 크고 시의적절하다고 생각한다"고 밝혔다.

/강기정기자 kanggj@kyeongin.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