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기도가 내년부터 2026년까지 매년 200억원을 투입해 경기도형 도시재생사업인 '경기 더드림 재생사업'을 추진한다.
단시간에 효과를 요구하는 기존 도시재생사업의 '성과 중심 물리적 사업'에서 탈피해 '주민·공동체 중심의 프로그램 사업'을 만들어 내는 게 목표다.
이를 위해 가이드라인에 명시된 사항 외에는 모두 허용하는 이른바 '네거티브 방식'으로 사업을 진행키로 했다.
18일 도에 따르면 '경기 더드림 재생사업'은 민선 8기 3대 도정 목표(더 많은·더 고른·더 나은 기회)의 '더'에 도민에게 꿈과 희망을 드린다는 '드림(Dream)'이라는 표현의 합성어로 도민에 좀 더 친숙하게 다가가기 위해 만들어진 중의적 표현이다.
2026년까지 매년 200억원(도비 50%, 시·군비 50%) 범위에서 사업지를 한 곳이든 여러 곳이든 선정하되, 사업규모·면적·사업비·사업기간을 정하지 않고 시·군이 여건에 맞도록 제안하는 방식이다.
4년간 매년 200억씩 들여 추진
성과 탈피 주민·공동체 중심
공모 앞두고 전문가 컨설팅도
도는 인구·사업체 감소, 노후건물 증가 등 시·군과 지역별의 다양한 쇠퇴 양상과 문화재·군사시설·상수원 보호 규제, 미군기지 이전, 인근 지역 개발로 인한 인구 이동, 농촌지역 소외 등 다양한 주제에 대해 시·군과 주민이 해결방안을 고민하고 자유롭게 제안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또 주민이 창업·경영전문가와 함께 공동체 조직을 구성해 다양한 테스트베드(실험사업)를 구상하도록 해 공동체 조직의 자립적 경제활동도 보장하도록 했다.
그동안의 공모사업은 물리적 사업만을 중점 지원했다면, 더드림 재생사업은 기반구축 단계부터 사업추진 단계, 지속운영 단계까지 지원하면서 쇠퇴지역 도시재생의 사각지대를 최소화한다는 계획이다.
공모 과정에서 사업지역에 민선 8기 도와 시·군의 정책사업을 집적화하거나 도시재생 기반시설을 조성하는 경우에는 선정 가능성을 높일 수 있도록 가점을 부여해 사업의 성과를 극대화한다는 방침이다.
도는 시·군과 주민이 함께 청년·전문가·기업 등 사업주체 발굴과 지역문제 고민을 할 수 있도록 공모 시기를 2023년 4월로 정했다. 아울러 도시재생 자문단 66명 등 전문가를 활용한 컨설팅을 지원할 계획이다.
홍지선 도 도시주택실장은 "공동체 기반이 무너지면 도시재생은 지속될 수 없다"면서 "경기 더드림 재생사업을 통한 공동체 중심의 다양한 사업을 시도해 지속가능한 모델이 발굴될 수 있도록 행정·재정적 지원을 아끼지 않겠다"고 말했다.
/김태성기자 mrkim@kyeongin.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