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2122701001058400050311

'눈병'으로 고생하는 이들을 종종 보게 된다. 가장 흔한 게 바이러스 감염으로 발생하는 유행성 결막염이나 알레르기성 결막염이다.

유행성 결막염은 결막(흰자)뿐 아니라 각막(검은 동자)에도 염증을 유발할 수 있어 각결막염이라고도 불린다. 주로 오염된 매개물을 통해 감염되고, 눈병에 걸린 환자와 접촉하면 감염될 확률이 높다. 유행성 결막염은 보통 수일간의 잠복기를 거쳐서 급성으로 발현되며 아데노바이러스, 엔테로바이러스 등이 원인이다.

가천대 길병원 이종연 교수(안과)는 "눈꺼풀에 의해 보호되는 눈과 달리, 결막은 외부에 노출돼 다양한 세균이나 유해물질에 의해 감염되기 쉽다"고 설명했다.

유행성, 강한 감염성 보여… 충혈·눈꼽 간지러움등
"외출 후 깨끗이 씻고 발병땐 전염 안되도록 주의"
알레르기성, 원인 물질 노출 줄여야… 검사 필요해


유행성 결막염은 감염성이 매우 강하다. 바이러스는 겨울철에도 왕성히 활동하기 때문에 유행성 결막염에 주의를 기울여야 한다. 주요 증상은 보통 충혈, 눈곱, 이물감, 간지러움 등이다. 심할 경우에는 각막 손상으로 인해 심한 통증이나 시력저하가 발생할 수 있다.

유행성 결막염이 생겼다고 해서 집안에 상비해둔 안약을 아무렇지 않게 사용해선 안 된다. 이종연 교수는 "유행성 결막염을 예방하기 위해 외출 후에는 반드시 손을 깨끗이 씻고, 만약 병에 걸렸다면 외출을 삼가고 타인에게 전염되지 않도록 각별히 주의해야 한다"며 "2차 감염을 피하기 위해 항생제를 사용하는 것 외에는 특별한 치료가 없다"고 말했다.

알레르기성 결막염도 흔한 결막염 중 하나이다. 알레르기성 결막염은 진드기, 꽃가루, 개나 고양이의 털 같은 것들이 원인이 될 수 있다. 하지만 최근에는 미세먼지나 황사와 같은 공해 물질이 원인이 되기도 한다.

알레르기 결막염에 걸리면 눈이 가려워 계속 비비게 되고, 눈이 붓고 빨갛게 충혈되기도 한다. 심할 경우 각막에 염증이 생기고, 각막혼탁이 발생할 수 있다.

이 교수는 "알레르기 염증 반응을 줄이는 약물을 사용해서 증상을 완화시킬 수 있지만, 효과가 일시적"이라며 "알레르기 원인물질에 대한 노출을 최소화해 예방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조언했다.

알레르기가 심한 환자들은 정확한 원인 물질을 찾기 위해 의료기관에서 검사를 받는 것이 좋다. 그렇게 원인 물질을 알게 됐다면 일상생활에서 그 물질에 노출되지 않도록 신경을 써야 한다. 증상이 있을 때는 알레르기 증상을 조절할 수 있는 항히스타민 또는 스테로이드 안약을 사용하면 도움이 된다.

/임승재기자 isj@kyeongin.com, 일러스트/박성현기자 pssh0911@kyeongin.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