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로나19가 3040 남성에 정신적으로 악영향을 끼친 것으로 나타났다. 우리나라 성인 정신건강은 10여년 간 큰 변화가 없었지만 코로나19 이후 우울장애를 겪는 30~40대 남성이 늘어났다.

질병관리청이 국민건강영양조사를 분석해 27일 발표한 '성인 정신건강 심층보고서'에 따르면 코로나19 유행 전인 2018년과 2019년, 유행 이후인 2020년과 2021년의 30대 남성 우울장애 유병률을 비교한 결과 2.87의 교차비를 보였다. 교차비는 1 이상일 때 위험이 높아진 것으로 본다.

40대 남성 역시 2.32로 높은 수준인 것으로 조사됐다.

특히 교육수준이 낮고 배우자가 없는 경우, 흡연자인 경우 우울장애 유병률이 높았다. '중졸 이하'는 2.71, '고졸'은 2.05로 높았지만, '대졸 이상'은 1.45로 비교적 낮은 교차비를 보였다.

소득수준별로도 2분위는 2.39, 3분위 2.62의 교차비로 높은 수준이었으며, '배우자 없음(미혼·이혼·사별)'도 '배우자있음(1.42)'보다 높은 2.20으로 집계됐다.

'자살생각률'은 전체적으로 봤을 때 코로나19 이전에 비해 낮아졌지만, 30대 남성과 여성 각각 2.69, 2.59로 모두 유행 전보다 늘어났다.

특히 30대 남성에서 '자살계획률' 교차비가 5.98로 크게 증가해 각별한 관리가 필요한 것으로 조사됐다.

지영미 질병청장은 "정신건강이 개선되지 않은 청년층과 교육·소득수준이 낮은 사회경제적 취약자, 위험건강행태를 가진 흡연자 등에 대한 지속적인 관리가 필요하다"며 "전반적인 정신건강은 여전히 여성이 좋지 않으나, 코로나19 유행 이후에는 30대 남자의 정신건강 악화 정도가 증가한 것으로 나타나 이에 대한 관심과 모니터링이 필요하다"고 밝혔다.

/김성주기자 ksj@kyeongin.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