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물가·고금리·고환율 등 '3고'(高)에 신음중인 한국 경제가 올해 더욱 거친 파도를 만나게 될 것으로 보인다. 경제계는 이를 '경제 혹한기'라 칭하며 대비를 당부하고 있다.
1일 기획재정부 등 주요 기관에 따르면 올해 실질 국내총생산(GDP) 성장률은 잠재성장률을 밑도는 1%대에 그칠 것으로 예상된다. 실제 성장률 전망치를 기재부는 1.6%, 한은은 1.7%, 한국개발연구원(KDI)과 경제협력개발기구(OECD)는 1.8%로 제시했다.
한국 경제 성장률이 2%에 미치지 못했을 때는 코로나19가 덮친 2020년(-0.8%), 글로벌 금융위기 직후인 2009년(0.8%), 국제통화기금(IMF) 외환위기 때인 1998년(-5.1%) 등 대형위기를 맞았을 때를 제외하고는 찾아보기 어렵다.
가장 큰 걱정은 수출 부진이다. 지난해 무역적자는 472억달러(약 60조원)로 2008년 이후 14년 만에 연간 적자를 기록했을 뿐 아니라 적자 규모도 외환위기 때를 넘어 역대 최대를 찍었다.
경기도의 주력 품목인 반도체 등의 수출이 큰 폭으로 흔들렸고, 올해 전망도 좋지 않다. 정부는 올해도 수출이 전년보다 4.5% 감소할 것으로 전망했다. 수출 감소는 생산 활동의 위축으로 이어져 소비, 투자, 고용 등 내수시장 전반에 영향을 미친다.
5% 수준의 고물가 국면이 당분간 이어질 것으로 전망된다. 작년 한 해 물가가 5.1% 올라 외환위기 당시인 1998년(7.5%) 이후 가장 높은 상승률을 기록했다. 올해 초부터 전기·가스 요금과 시내버스·지하철 요금 인상 등이 줄줄이 예정돼 있다.
가계 부채도 연쇄 충격을 받고 있다. 가계신용은 지난 9월말 기준 1천870조6천억원으로 사상 최대에 달한 데다 기준금리의 급격한 인상으로 서민들의 이자 부담도 한계치에 다다랐다.
/김태성기자 mrkim@kyeongin.com
'수출 부진' 한국경제, 3고(高) 넘어 한파 위기
서민 이자부담 등 가계부채 한계치
입력 2023-01-01 20:51
수정 2023-01-01 20:51
지면 아이콘
지면
ⓘ
2023-01-02 15면
-
글자크기 설정
글자크기 설정 시 다른 기사의 본문도
동일하게 적용됩니다.- 가
- 가
- 가
- 가
- 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