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만성 발목 불안정증은 반복적으로 발목을 삐는 질환이다. 그간 급성 발목 염좌와 만성 인대 불안정성에 대한 보존·수술 치료 적용 범위 등에 대해 여러 연구와 논의가 진행됐지만, 임상적 평가지표나 영상학적 자료 등에 근거한 것이었다.
김윤정·최연호 교수팀은 2019년 3월부터 2021년 2월까지 만성 외측 발목인대 불안정성으로 인대 봉합술을 받은 환자 21명과 급성 외복사 골절로 골절부 고정술을 받은 환자 17명 등 38명의 환자를 대상으로 두 환자군의 조직 내 자가사멸세포 정도를 분석, 차이를 비교했다.
그 결과, 만성 외측 발목 인대 불안정성 환자의 전방거비인대 조직 내에서 세포자가사멸이 발생되고, 급성 발목 염좌 환자의 전방거비인대 조직과 비교해서도 세포자가사멸이 더 많이 발생됨을 확인했다.
김윤정 교수는 "본 연구는 만성 외측 발목 인대 불안정성과 급성 외측 발목 인대손상 전방거비인대의 생물학적 차이를 밝힌 최초의 연구"라며 "만성 외측 발목 인대 불안정성은 전방거비인대의 수술적 재건을 필요로 하는 반면, 급성 외측 발목 인대 손상은 보존적 치료로 잘 치료된다는 치료 전략 수립의 차이를 만드는 근거로 볼 수 있다"고 말했다.
이번 연구는 정형외과학 분야에서 가장 권위 있는 학술지 중 하나인 'Clinicial Orthopaedics and Related Research' 2022년 12월호에 게재됐다.
/김성주기자 ksj@kyeongin.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