포천의 양돈농가에서 아프리카돼지열병(ASF)이 발병했다. 포천에서 ASF가 발병한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6일 ASF 중앙사고수습본부와 경기도에 따르면 이날 오전 11시께 포천시 관인면의 한 양돈농가에서 사육 중인 돼지를 도축하기 위해 검사를 받는 과정에서 ASF 바이러스가 검출됐다. ASF 양성 판정을 받은 돼지는 도축장에 출하된 20마리 중 6마리다. 이에 따라 해당 농장에서 사육 중인 돼지 8천여 마리를 살처분하기로 했다.
아울러 축산 방역 당국은 경기북부 10개 시군과 인천지역 양돈농가에 8일 낮 12시까지 일시이동중지명령을 내렸다.
ASF 발병 포천 농장 반경 500m 이내에는 1개 농가가 돼지 1천200마리를, 3㎞ 이내에는 3개 농가에서 1만1천400마리를, 10㎞ 이내에는 52개 농가에서 10만1천마리를 사육 중이다.
경기도 관계자는 "도축 전 검사 중 ASF가 확진됐다"며 "해당 농장의 돼지를 우선 살처분하고 정밀 역학조사를 진행할 방침"이라고 말했다.
경기지역에서 ASF는 지난 2019년 9∼10월 파주·연천·김포에서 9건 발생한 뒤 3년여 만인 지난해 9월 김포와 파주 2개 농장에서 2건 발생한 바 있다. 여기에 포천에서 추가로 발생하며 경기지역 ASF 발병은 모두 12건으로 늘었다.
국내 양돈농가 ASF 발병은 2019년 9월 국내 첫 발병 이후 경기 12건, 강원 12건, 인천 5건 등 모두 29건으로 늘어나게 됐다.
한편 경기지역에서는 1천79개 양돈농가에서 돼지 200만 마리(포천 30만 마리)를 사육 중이다.
아울러 축산 방역 당국은 경기북부 10개 시군과 인천지역 양돈농가에 8일 낮 12시까지 일시이동중지명령을 내렸다.
ASF 발병 포천 농장 반경 500m 이내에는 1개 농가가 돼지 1천200마리를, 3㎞ 이내에는 3개 농가에서 1만1천400마리를, 10㎞ 이내에는 52개 농가에서 10만1천마리를 사육 중이다.
경기도 관계자는 "도축 전 검사 중 ASF가 확진됐다"며 "해당 농장의 돼지를 우선 살처분하고 정밀 역학조사를 진행할 방침"이라고 말했다.
경기지역에서 ASF는 지난 2019년 9∼10월 파주·연천·김포에서 9건 발생한 뒤 3년여 만인 지난해 9월 김포와 파주 2개 농장에서 2건 발생한 바 있다. 여기에 포천에서 추가로 발생하며 경기지역 ASF 발병은 모두 12건으로 늘었다.
국내 양돈농가 ASF 발병은 2019년 9월 국내 첫 발병 이후 경기 12건, 강원 12건, 인천 5건 등 모두 29건으로 늘어나게 됐다.
한편 경기지역에서는 1천79개 양돈농가에서 돼지 200만 마리(포천 30만 마리)를 사육 중이다.
/김태성기자 mrkim@kyeongin.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