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예쁘다 예쁘다 했더니… 속눈썹, 너 어쩌면 좋니
'안검내반증'은 속눈썹이 눈꺼풀 안쪽으로 말려 들어가 눈에 여러 영향을 미치는 안질환이다. 안검내반증 환자는 속눈썹이 각막을 찔러 눈물을 자주 흘리고 눈부심을 호소하기도 한다.
자칫 각막염이나 각막궤양을 유발할 수 있고, 심할 경우 시력 저하를 초래할 수도 있다. 어린 나이에 발병하면 시력에 안 좋다. 말려 들어간 속눈썹이 검은 동자를 긁기 시작하면 난시가 생길 수 있다. 계속해서 상처가 나고 혼탁이 되면 난시가 뚜렷해지고 시력 저하 가능성도 커진다.
눈꺼풀 말림엔 덧눈꺼풀 수술·근육 문제땐 '안검성형술'
'속눈썹 뽑기' 궁극적 해결 안돼… 더 심한 자극 줄 수도
치료방법은 눈동자를 찌르는 속눈썹이 난 자리와 형태에 따라 달라진다. 보통은 위쪽보단 아랫눈꺼풀에 나타나는 빈도가 높다. 나지 말아야 할 자리에 난 속눈썹 몇 가닥이 계속 각막을 찌르는 경우 수술보다는 모근을 발췌하는 시술을 권한다.
속눈썹이 아니라 눈꺼풀 말림으로 문제가 생기면 덧눈꺼풀 수술이나 안검성형술로 교정한다. 눈꺼풀 말림의 원인은 크게 피부와 근육 등 2가지로 나뉜다. 노화 등으로 눈 주변 피부가 늘어나 눈꺼풀이 안쪽으로 말려 들어갈 수 있다. 이럴 때는 아랫눈꺼풀의 주름진 피부를 잘라서 눈썹이 밖으로 나오게 하는 '덧눈꺼풀 수술'로 치료한다.
눈꺼풀 아래에 있는 근육이 문제일 수도 있다. 이 근육은 '검판'이라는 눈꺼풀의 연골조직 밑에 있다. 근육이 제자리를 벗어나 검판 위로 올라가면 눈꺼풀이 안쪽으로 말려 들어가 안검내반증을 유발할 수 있다.
이때는 속눈썹 위 또는 아랫부분의 피부를 절개해 늘어진 피부와 비대해진 근육을 제거하는 '안검성형술'로 치료한다. 피부와 근육에 밀려 안쪽으로 말려 들어간 속눈썹이 밖으로 나오게 하는 원리다.
속눈썹 뽑기는 궁극적인 치료방법이 되지 못한다. 속눈썹은 머리카락처럼 다시 자란다. 자라는 방향을 바꾸지 못하면 이전과 같이 잘못 난 방향으로 자랄 수밖에 없다. 갓 자라기 시작한 짧은 속눈썹은 눈을 더 심하게 자극할 수 있다.
한길안과병원 이상언 제2진료부원장은 "안검내반 수술 여부는 발생 원인, 속눈썹이 자란 위치와 형태, 눈 주위 피부와 근육 상태 등 여러 요소를 고려해서 정한다"며 "안검내반이 의심되면 성형 안과 전문의의 진료를 받는 것이 좋다"고 조언했다.
/임승재기자 isj@kyeongin.com, 일러스트/박성현기자 pssh0911@kyeongin.com